석유시장 참여자, 그들은 누구인가?
금년 들어 유가의 등락이 한층 더 심화되고 있다. 지난달 중순 배럴당 20달러 중반대까지($26.21) 하락했던 WTI 유가는 최근 한 달만에 배럴당 40달러를 돌파하는등 약 50%정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주된 이유로는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발표에 따른 달러 약세추세 및 경제기초 측면에서의 공급과잉 분위기 완화 등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격정보전문기관(Argus사)도 언급한 것처럼 가격이 급등할 이유를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면 모든 시장 참여자들의 의견의 총합인 시장 심리(Market Sentiment)가 한 쪽으로 쏠리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특정 세력에 의해 오버 슈팅되고 있는 것인가? 이처럼 국제유가는 시시각각 변동하고 있는데 과연 유가의 결정권자는 누구인가? 이러한 의문에 대해서 앞으로 두, 세번에 걸쳐서 1)석유시장 참여자들의 유형, 2)참여동기, 전략 및 행태, 3)석유시장참여자들의 거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생태계는 어떻게 조성되고 지원돼야 하는가? 최근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국제석유거래소간의 합종연횡(合從連橫)이 주는 시사점, 우리의 대응 전략 등을 살펴 보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국제석유시장에는 수많은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고 있다. ‘수직적 일관조업체제’를 갖춘 수퍼 메이저 석유회사로부터 석유.가스 생산자, 석유·가스·전기 트레이더, 석탄거래업자,정제업자,석유화학사, LPG 거래 업자, 발전회사,투자은행(IB), 인덱스 투자자, 석유시장 브로커, 연기금등 각종 투자자, 전자 상거래업자(E-Traders), 헷저(Hedgers), 피더 펀드(Feeder Fund), 헷지 펀드(Hedge Fund), 스캘퍼(Scalpers) 및 투기적 거래자(Speculators), 데이 트레이더(Day traders),포지션 트레이더 및 재정거래자(Arbitrageurs), 시장조성 거래자(Market makers), 최종 소비자(항공사,선박회사, 석유·가스 다소비업체) 등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하다.
국제 석유.가스시장에 참여하는 동기는 참여자마다 상이할 수밖에 없다. 우선 상.하류 전(全) 가치사슬에 참여하고 있는 수퍼 메이저(Super Majors)는 수직적 일관조업체계와 다각화된 경영체제를 갖고 있어 비교 우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글로벌 마아케팅과 때로는 시장 조성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영업이익의 65~90%를 상류부문에서 실현하기 때문에 원유판매가격의 관리는 극히 중요하며 하류부문에서 생산되는 석유제품의 판매가격관리 또한 중요하다.
둘째, 생산자 그룹의 경우, 풍부한 자원을 보유한 산유국 국영석유사는 장기적으로 안정된 원유 판매수익확보와 하류부문의 석유제품 판매가격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잘 나가던 70년대 향수가 아직도 남아 있어 기회가 되면 공급과 가격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 자원보유가 부족한 소비국 국영석유사(중국, 인도 등)는 지속적 경제성장에 필요한 장기 에너지 안보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또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상류부문에 특화했으나 수직적 통합구조를 구비하지 못한 독립계 석유회사(Independent Oil Cos)는 유가의 변동성에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시장 참가자 때문에 중.장기 판매가격 위험관리가 필수적이다.
셋째, 정제업자는 가능한 한 저렴하게 구입해야 하는 원유구입가격과 가능한 한 비싸게 팔아야 하는 석유제품 판매가격에 동시에 위험이 노출돼 있다.
넷째, 국제 트레이더는 트레이딩(실물과 페이퍼거래)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때문에 석유시장에서 브로커 역할도 하고, 실물자산을 갖고 있으면서 가격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장에 참여하는 수많은 헷저들에게 거래유동성을 제공하기도 하며 때로는 가격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고 위험을 부담하면서 시장 조성자로서 참여하기도 한다.
다섯째, 연기금, 보험사 및 펀드 운용 기관투자가는 목표 수익률 달성 및 위험분산 목적으로 석유 상품시장에 참여하게 된다.
끝으로 헷지 펀드, 스캘퍼, 재정거래자 등은 오직 투기적 동기에서 석유시장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의행태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있으나 석유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제공하는 등 거래활성화의 촉매제로서의 긍정적 기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자료: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북미 오토쇼(NAIAS;North American International Auto Show)’에 처음으로 참가해 전동화 플랫폼 등 차세대 핵심 기술을 소개한다. ‘디트로이트 모터쇼’로 잘 알려진 북미 오토쇼는 그동안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3년 만에 현장 행사로 개최된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독일 뮌헨 모터쇼(IAA)에 이어 이번 북미 오토쇼에도 참가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공격적인 영업 활동을 이어간다.
현대모비스는 오는 14일부터 25일까지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 헌팅턴 플레이스에서 개최되는 ‘2022 북미 오토쇼’에 참가한다고 5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전시 기간 중 14~16일 3일간 고객사 전용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 신기술 30여 종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모비스 글로벌OE영업부문 악셀 마슈카(Axel Maschka) 부사장은 “미국 자동차 산업의 상징과도 같은 디트로이트에서 화려하게 부활한 오토쇼라는 의미에 더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격전지인 북미 시장에서 새로운 수주 기회를 발굴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북미 오토쇼에서 현대모비스는 양산 가능한 미래차 분야 신기술 30여 종을 선보인다. 특히 전기차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고 있는 북미 시장 특성에 맞게 전동화 시스템을 전략적으로 강조할 예정이다. 전기차용 시장 참가자 통합 샤시플랫폼(eCCPM; electric Complete Chassis Platform Module)이 대표적이다.
이 플랫폼은 전기차에 최적화된 것으로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알루미늄 프레임에 제동, 조향, 현가, 구동, 배터리시스템을 모두 결합한 시스템이다. 차량의 크기에 따라 플랫폼 형태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차 기반의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개발에 성공한 ‘라이팅 그릴’도 소개된다. 라이팅 그릴은 전기차 전면부 그릴 전체를 조명 장치나 차량, 보행자 간 의사소통 수단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라이팅 그릴을 보면 차량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그릴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대에 어떻게 변신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밖에 차세대 통합 칵핏(M.VICS 3.0), 홀로그램 AR 시장 참가자 HUD, 스위블 디스플레이 등 바로 양산 적용 가능한 다양한 미래 신기술을 이번 북미 오토쇼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이처럼 트렌드 변화를 선도하는 북미 시장을 겨냥해 전동화,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시장 참가자 IVI(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등을 핵심 아이템으로 내세웠다.
북미 시장은 현대모비스 입장에서는 해외 수주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곳이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상반기까지 북미 시장에서만 17억 달러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현재 수주 실적 기준으로만 보더라도 북미 시장은 올해 현대모비스의 전체 해외 시장 참가자 수주 목표액 37.5억 달러 가운데 45% 가량을 차지한다. 북미에서 수주 증가세는 20년 6.6억 달러, 21년 14억 달러, 22년 상반기까지 17억 달러로 3년 연속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북미 오토쇼 전시 기간인 14일, 현지 언론 대상‘미디어 컨퍼런스’를 열고 북미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다. 미디어 발표에서는 글로벌 6위 자동차 부품사로서 현대모비스의 미래 전략과 핵심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고, 플랫폼 단위 전동화 핵심 부품과 고부가가치 시장 참가자 시장 참가자 전장 부품 등을 중심으로 현지 영업을 강화하겠다는 내용 등이 담길 예정이다.
앞으로도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개최되는 모빌리티 전문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해 미래차 기술 경쟁력을 강조할 계획이다. 전동화와 자율주행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이에 따라 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사업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장 참가자
[잡포스트] 김경은 기자 = 코웨이가 오는 6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IFA 2022’에 참가한다고 2일 밝혔다.
IFA 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 Consumer Electronics Show )'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 Mobile World Congress )'와 함께 세계 3대 가전·정보통신( IT ) 전시회로 꼽힌다.
코웨이는 이번 ‘IFA 2022’에서 최근 국내에서 출시한 아이콘 정수기 시리즈 및 노블 컬렉션을 포함해 ▲공기청정기 14종 ▲정수기 8종 등 총 22종의 혁신 제품을 선보인다.
코웨이가 참관객과 바이어들에게 주력으로 선보이는 제품은 에어메가(Airmega) 공기청정기다. 최근 실내공기질 관리가 전 세계 관심사로 부상해 다양한 필터 시스템을 갖춘 공기청정기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코웨이는 이번 ‘IFA 2022’를 통해 유럽 시장을 공략할 공기청정기 ‘에어메가 250’, ‘에어메가 250H’를 처음 선보인다. 에어메가250 공기청정기는 집안 환경과 공기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팬 속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청정 기능과 직관적인 디스플레이로 뛰어난 사용 편리성이 특징이다. 레드닷, IDEA 등 국제 디자인 어워드에서 연이어 수상하며 우수한 디자인을 인정받았다. 이 제품은 올 하반기에 유럽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코웨이는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해외 전용 제품 ‘에어메가 마이티 공기청정기’도 선보인다. 마이티 공기청정기는 작은 크기임에도 우수한 청정 기능을 갖춰 뉴욕타임즈(NYT)의 소비자리포트 와이어커터(Wirecutter)에서 8년 연속 최고의 공기청정기로 선정됐다.
또한 이 제품은 유럽 알레르기 연구재단(ECARF)으로부터 알레르기 안전 인증을 획득해 유럽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이지훈 코웨이 상품전략본부장은 “이번 시장 참가자 IFA 2022에서 코웨이 공기청정기와 필터 기술을 소개하며 세계적 수준의 공기청정기 기술력을 인정받고자 한다”며 “동남아ㆍ미주를 넘어 유럽 시장에서도 혁신적인 공기청정기를 선보여 유럽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참가자
최초부터 최고까지,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 ㈜디오(대표 김진백)가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
디오는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 Palexpo에서 개최되는 ‘European Association for Osseointegration 2022’(이하 EAO 시장 참가자 2022)에 참가한다.
올해로 31회째를 맞는 ‘EAO 2022’는 유럽 최대 규모의 임플란트 학회로,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1년 이후, 1년 만에 다시 대면 오프라인 행사로 진행되는 만큼 관심이 더욱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오는 이번 ‘EAO 2022’에서 디지털 임플란트 ‘디오나비(DIOnavi.)’부터 시장 참가자 디지털 무치악 임플란트 시스템 ‘디오나비 풀아치(DIOnavi. Full Arch)’, UV 임플란트 시스템 ‘UV Activator2’, 풀 디지털 솔루션 ‘DIO Ecosystem’ 등 디지털 치과 진료를 위한 핵심 라인업을 모두 선보인다.
이미 디오의 제품들은 70여 개국에 수출하며 전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이번 ‘EAO 2022’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유럽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디오 홍보팀 이용영 팀장은 ‘EAO 2022’ 참가에 대해 “유럽 시장에서 디오의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EAO 2022’를 시작으로 내년에 있을 ‘AEEDC 2023’, ‘IDS 2023’ 등 국내외 전시 및 학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디오의 제품과 기술력을 알리고 활발한 교류와 소통의 장으로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