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교육 — TradingView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hae1 2022.08.11 00:32 더보기

트레이더 최고무기, RSI 상대강도지수

자동차 출력단위에는 마력이라는 것이 있다. 가령 소나타의 마력이 170이라고 한다면 소나타는 170마리의 말이 끄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좀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1마력이라면 말 한필의 힘에 해당하는데 1초당 75㎞·m의 일의 양이나 746W의 전력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자동차는 마력이 높을수록 잘 달리고 가속도 잘 붙는다. 한마디로 마력이 높다는 것은 힘이 좋다는 것이다. 자동차 구입시 모두가 동일한 조건이라면 마력이 더 좋은 자동차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다. 자동차의 마력과 같이 주식에도 주가를 끄는 힘을 알려주는 보조지표가 있다. 바로 상대강도지수(RSI)이다.

트레이더 최고의 무기 RSI(상대강도지수)

나는 차트아래 4~5개정도의 보조지표를 보며 트레이딩을 한다. 보조지표는 시장상황에 따라 수시로 없애거나 다른것을 추가한다. 하지만 차트아래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는 보조지표가 있다. 바로 상대강도지수(RSI)다.

상대강도지수(RSI)는 와일더(wilder)라는 사람이 1978년에 그의 책을 통해 처음 소개 되었다. RSI(상대강도지수)는 종가의 변화로 추세 강도를 측정하는 선행지표이다. 추세의 힘(강도)를 보여준다. 헌재 추세의 힘이 어떠한지를 0~100퍼센트의 수치로 나탄낸다. 또한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알려주며 다이버전스를 분석하는 아주 유용한 보조지표이다.

RSI(상대강도지수)설정 및 해석

개발자는 기본값으로 14일을 설정하였다. 설정값은 9일과 14일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나 또한 기본값인 14일을 사용한다. 트레이더의 매매성향에 따라 설정값의 기간을 늘리거나 줄이기도 한다.

예를들어 내가 단기 트레이더라면 5일 또는 7일 같이 짧은 설정값을 사용 할 수 있다. 기간이 짧을수록 오실레이터는 민감해진다. 반대로 기간을 늘리면 상대강도지수(RSI)의 변화는 둔감해지는 것이다.

상대강도지수(는 0부터 100까지의 범위에서 움직인다. 30이하면 과매도, 70이상이면 과매수로 해석한다. 하지만 강한추세가 있는 시장에서는 80선이 과매수 20선이 과매도 영역이 된다.

상대강도지수(RSI)의 중간값인 50선은 지지선과 저항선의 의미를 갖는다. 일부 트레이더는 매매신호로 사용하기도 한다.

상대강도지수(RSI)는 다이버전스를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가가 이전 저점을 이탈하는 데도 상대강도지수(RSI)는 이전 저점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상승전환이 예상된다. RSI의 다이버전스는 다른 지표의 다이버전스에 비해 신뢰도가 높다.

추세가 진행되면 과매수 혹은 과매도 영역(30과 70)에 금방 도달할 수 있다. 상승추세가 진행되고 RSI가 70이상에 도달하여 과매도라 생각하며 매도포지션을 취하게 된다면 우리는 추세에서 너무 일찍 나오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과매수(70이상) 과매도(30이하)로의 첫번째 진입은 예고신호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때부터 우리가 주의해서 보아야할 것은 RSI두번째 고점 혹은 저점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가 이다. 주가는 하락하는데 RSI 두 번째 저점이 높아진다면 포지션을 취해야 한다는 강한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다이버전스를 말하는 것이다.

개발자는 RSI의 가장 큰 효율성을 과매도와 과매수수준(30과 70)에서 나타나는 다이버전스로 보았다. RIS 저점이 과매도 수준에 있고 두번째 저점이 과매도 수준 위에 있는 다이버전스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을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주가는 하락하고 RIS는 상승하며 다이버전스를 만들었다. 여기에 다른 기술적신호가 상승을 예고한다면 신뢰도는 증가한다. 예를들어 상승전환 캔들패턴이 나온다면 RSI의 다이버전스 신뢰도는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물론 어떤 기술적 분석도 중첩된다면 그 신뢰도는 대폭 증가된다.

트레이더는 자신에게 유리한 신호가 있는지 눈을 크게 뜨고 찾아봐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아군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간차트의 추세가 상승일 때 일간차트의 RSI의 매수신호를 활용하고 주간차트의 추세가 하락일때 일간차트의 RSI의 매도신호를 활용하면 RSI신호를 필터링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필터링은 신뢰도를 증가시켜준다.

월간차트에서 RSI의 과매도 신호는 신뢰도가 높다. 트레이더가 월간차트에서 과매도 신호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행동이다.

과매수, 과매도와 추세강도를 보여주는 선행지표이다.
0에서 100까지 움직이며, 30이하는 과매도 70이상은 과매수로 본다.
중간값 50은 지지와 저항선의 의미를 갖는다.
다른지표에 비해 다이버전스 신뢰도가 높다.
과매수, 과매도 시점을 청산신호가 아닌 예고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과매수와 과매도 시점에서 나타나는 다이버전스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이버전스와 함께 상승을 예고하는 다른신호가 보인다면 신뢰도는 증가된다.
월간차트에서 과매수, 과매도 신호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행동이다.

상대강도지수 (RSI)

상대 강도 지수 (RSI) 는 프라이스의 방향성 움직임의 변화 (크기) 뿐만 아니라 스피드 (속도) 까지 재는데 쓰이는 정통적인 모멘텀 기반 오실레이터입니다. 근본적으로 RSI 를 그려보면 어떤 특정 마켓에 대하여 과거 뿐만 아니라 현재의 강함 내지 약함을 함께 시각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줍니다. 강함 이나 약함은 가격과 모멘텀 변화의 믿을만한 수치를 만들어 내는 트레이딩 기간동안의 클로징 프라이스를 기반으로 정하게 됩니다. (주식 지수와 같은) 현금 기반 종목과 (전체 파생 분야와 같은) 레버리지 기반 금융 상품이 널리 쓰이는 것을 볼 때, RSI 는 가격 움직임에 대한 인디케이터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상대 강도 지수 (RSI) 에 대한 자세한 것은 여기를 읽어 보십시오.

BTCKRW: RSI를 이용한 추세선과 다이버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찾는 법

가장 대중적인 보조지표인 RSI를 이용한 많은 전략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SI를 이용하여 다이버전스를 찾는 기법과 RSI를 저항 또는 지지(추세선)로 사용하는 기법이 있습니다. RSI의 움직임에 조금만 관심을 가져도 알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RSI도 캔들스틱의 움직에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출력된 RSI선은 종가에 대한 값만을 출력하게 됩니다. 저는 위와 같은 이유로 종가의 RSI와 캔들스틱의 고가 또는 저가를 이용하여 다이버전스 찾는다거나 추세선을 긋는 것은 어쩌면 조금은 왜곡된 정보일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가로만 구성된 RSI를 참고하는 것보다 RSI의 고가와 저가를 함께.

USDJPY: [번] USDJPY - 리버설 트레이딩 교육

오랫만에 교육 자료 올려 봅니다 브레이크아웃 트레이더의 기본은 "브레이크아웃 매수" 와 "브레이크다운 매도" 입니다. 말로는 쉽지만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전고점을 리테스트하고 (로우어 하이) 더 위로 밀고 올라가는 업트렌드, 또는 전고점을 리테스트하고 (하이어 로우) 더 아래로 밀고 내려가는 다운트렌드를 보여주기 위해 트렌드라인 (tdl) RSI)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교육 — TradingView 을 아래 또는 위로 그립니다. 이때 피보나치 레벨에서 프라이스 리버스가 되는 효과적인 트렌드라인 을 그릴 수 있습니다. 어느 포인트에선가 프라이스는 업/다운 트렌드를 멈추고 옆걸음치기 시작하고 프라이스는 레인지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물론 리버스할 수 있지만 100%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상대 강도 지수 (RSI) 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RSI (Relative Strength Index)는 주식 또는 기타 자산 가격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최근 가격 변화의 규모를 측정하는 기술 분석에 사용되는 모멘텀 지표입니다. RSI는 오실레이터 (두 극단 사이를 이동하는 선 그래프)로 표시되며 0에서 100까지 판독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는 원래 J. Welles Wilder Jr. 가 개발했으며 그의 1978 년 저서 "New Concepts"에서 소개되었습니다.

RSI의 전통적인 해석과 사용은 70 이상의 값이 증권이 과매 수 또는 과대 평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추세 반전 또는 가격 조정 조정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RSI 값이 30 이하이면 과매도 또는 저평가 상태를 나타냅니다.

RSI 라인은 자산의 가격 차트 아래에 표시 될 수 있습니다. RSI는 포지티브 종가의 수와 규모가 증가하면 상승하고 손실의 수와 규모가 증가하면 하락합니다. RSI는 강하게 추세가 있는 시장에서 100 또는 0에 가깝습니다.

TradingView.

위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RSI 지표는 주식이 상승 추세에 있는 동안 과매수 영역에 장기간 머물 수 있습니다. 지표는 또한 주식이 하락세에 있을 때 오랫동안 과매도 영역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분석가에게는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일반적인 추세의 맥락에서 지표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면 이러한 문제가 명확 해집니다.

RSI 가 알려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주식 또는 자산의 주요 추세는 지표의 수치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시장 기술자 인 Constance Brown (CMT)은 상승 추세에서 RSI에 대한 과매도 수치가 30 % 보다 훨씬 높을 가능성이 높고 하락 추세 동안 RSI에 대한 과매수 수치가 그보다 훨씬 낮다는 아이디어를 장려했습니다.

다음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하락 추세 동안 RSI는 70 %가 아닌 50 % 수준 근처에서 정점을 찍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약세 조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알리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극단을 더 잘 식별하기 위해 강한 추세가 있을 때 30 % 에서 70 % 사이 의 수평 추세선을 적용합니다. 주식이나 자산의 가격이 장기적인 수평적 채널에 있을 때 과매수 또는 과매도 수준을 수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합니다.

추세에 적합한 과매수 또는 과매도 수준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은 추세에 맞는 거래 신호 및 기술에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즉, 가격이 강세 추세에 있을 때 강세 신호를 사용하고 주식이 약세 추세에 있을 때 약세 신호를 사용하면 RSI가 생성할 수 있는 많은 잘못된 경보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radingView

RSI 및 RSI 범위 해석

일반적으로 RSI가 수평 기준선 30을 초과하면 강세 신호이고, 수평 기준 기준선 70 아래로 떨어지면 약세 신호입니다. 다시 말해, 70 이상의 RSI 값을 해석하면 증권이 과매수 또는 과대평가되고 있으며 추세 반전 또는 조정 가격 하락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RSI가 30 이하이면 과매도 또는 저평가 상태를 나타냅니다.

추세 동안 RSI 판독 값은 대역 또는 범위에 속할 수 있습니다. 상승 추세 동안 RSI는 30 이상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주 70에 도달해야 합니다. 하락 추세 동안 RSI가 70을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고 지표가 30 이하를 자주 기록합니다. 이러한 지침은 추세 강도를 결정하고 잠재적 반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SI가 상승 추세 동안 여러 번의 연속적인 가격 변동에서 70에 도달할 수 없지만 30 아래로 떨어지면 추세가 약해져서 하락할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의 경우 그 반대입니다. 하락 추세가 30 이하에 도달하지 못하고 70 이상으로 상승하면 하락 추세가 약화되어 상승으로 반전될 수 있습니다. 추세선과 이동 평균은 이러한 방식으로 RSI를 사용할 때 포함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강세 다이버전스는 RSI가 과매도 수치를 생성하고 그에 상응하는 낮은 저점과 일치하는 더 높은 저점을 생성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상승 모멘텀이 상승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과매도 영역을 돌파하면 새로운 매수 포지션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약세 다이버전스는 RSI가 과매수 판독 값을 생성한 다음 가격의 높은 고점과 일치하는 고점을 낮출 때 발생합니다. 다음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가격이 낮은 저점을 형성함에 따라 RSI가 더 높은 저점을 형성했을 때 강세 디버전스가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은 유효한 신호였지만 주식이 안정적인 장기 추세에 있을 때 다이버전스는 드뭅니다. 유연한 과매도 또는 과매수 수치를 사용하면 더 많은 잠재적 신호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radingView

RSI 스윙 거부의 예

또 다른 거래 기법은 RSI가 과매수 또는 과매도 영역에서 재편성될 때 RSI의 행동을 조사합니다. 이 신호를 강세 "스윙 거부"라고 하며 네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RSI는 과매도 영역에 속합니다.

RSI는 30 % 이상으로 교차합니다.

RSI는 과매도 영역으로 다시 교차하지 않고 또 다른 하락을 형성합니다.

RSI는 가장 최근의 고점을 돌파합니다.

다음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RSI 지표는 과매도되었고 30 %를 돌파했으며 더 높게 반등했을 때 신호를 트리 거한 거부 저점을 형성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RSI를 사용하는 것은 가격 차트에 추세선을 그리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TradingView

디버전스와 마찬가지로 강세 버전의 미러 이미지처럼 보이는 스윙 거부 신호의 약세 버전이 있습니다. 하락 스윙 거부는 네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1. RSI는 과매 수 영역으로 상승합니다.
  2. RSI는 70 % 아래로 다시 교차합니다.
  3. RSI는 과매 수 영역으로 다시 교차하지 않고 또 다른 고점을 형성합니다.
  4. RSI는 가장 최근의 저점을 돌파합니다.

다음 차트는 약세 스윙 거부 신호를 보여줍니다. 대부분의 거래 기술과 마찬가지로이 신호는 일반적인 장기 추세를 따를 때 가장 신뢰할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의 약세 신호는 잘못된 경보를 생성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TradingView

RSI와 MACD의 차이점

이동 평균 수렴 다이버전스 ( MACD )는 증권 가격의 두 이동 평균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추세 추종 모멘텀 지표입니다. MACD는 12 일 EMA에서 26 일 지수 이동 평균 ( EMA )을 빼서 계산됩니다. 그 계산의 결과는 MACD 라인입니다.

"신호선"이라고 하는 MACD의 9 일 EMA는 매수 및 매도 신호의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는 MACD 라인 위에 표시됩니다. 거래자들은 MACD가 신호선 위로 교차할 때 증권을 매수하고 MACD가 신호선 아래로 교차 할 때 증권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RSI는 최근 가격 수준과 관련하여 유가 증권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 인지를 나타 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RSI는 주어진 기간 동안 평균 가격 상승 및 손실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기본 기간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진 14 개 기간입니다.

윌리엄 오닐, 상대강도지수(RS) 손쉬운 설정으로 주식차트 보는법 소개

주식 RS 지수 활용법 소개

주식 RS 지수 활용법 소개

윌리엄 오닐이 쓴 에 보면 상대강도 지수 RS를 활용해 투자 종목을 고르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오늘은 트레이딩뷰 차트를 활용해 국내 코스피, 코스닥 및 미국 주식 종목을 윌리엄 오닐의 RS 점수를 주가 차트에 적용 및 활용해 주식차트 보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 합니다.

코스피나 코스닥에 포함된 개별 주식 종목에 윌리엄 오닐의 상대강도 지수인 RS(Relative Strength Rate)을 손쉽게 추가해 시장 주도주를 확인하는 간편한 방법 까지 알아 봅니다.

주로 마크 미너비니의 주가지수 대비 상대 강도를 많이 소개해 왔습니다만, 이번에는 윌리엄 오닐의 RS 점수를 활용한 투자 종목 선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Relative Strength 라고하는 이 간단한 개념만 잘 알아도 일단 주식 투자에 있어서 절반을 이겨놓고 하는 게임이 될 만큼 투자 종목 선정에 있어서는 매우 강력하다 할 수 있습니다.

상대강도 지수(RS) 활용법

상대강도 지수는 영어로 Relative Strength(RS)라고 합니다. 뜻 그대로 상대적으로 강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주식 시장을 늘 상대 비교를 하게 됩니다. 왜냐면 투자 자금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강하면 어느 한쪽은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투자금이 많이 쏠리는 쪽이 더 강하고 쎈 반면, 하락하는 종목은 매도를 하기 때문에 약화됩니다. 이렇게 판돈은 주로 강한 종목 쪽으로 다시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에서 강하다, 세다고 하는 의미는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를 하면 좋습니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이 RS 개념이 널리 알린 인물이 바로 윌리엄 오닐입니다. 그가 쓴 책 에 RS 점수를 가지고 어떻게 강한 시장 주도주 종목을 선별해 내는지에 관한 내용이 나옵니다.

그 이후 마크 미너비니가 쓴 책 라는 책에서 보다 단순하고 심플한 방법으로 주가지수와 개별 종목 차트를 비교하는 방법을 소개했는데요.

마크는 보다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어떻게 시장 주도주를 잘 골라내 확률 높은 투자 승률을 높일 수 있는가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설명해 미국은 물론 다양한 나라의 개인 주식 투자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상대강도지수는 여러모로 개별 종목이 주가지수 대비 얼마나 강한 흐름을 보여주는지로 시장 주도주를 판별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되어 왔습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윌리엄 오닐과 마크 미너비니의 개별 종목의 상대적 강함(Relative Strength)을 판별하는 기준과 방식은 조금 다르지만 둘 다 주가지수를 그 대상으로 한다는 면에서 볼 때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윌리엄 오닐의 상대강도지수 RS 지수를 트레이딩 뷰에서 보조지표로 추가해 손쉽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상대강도 지수(RS) 개념

윌리엄 오닐 상대강도지수 RS 라인 차트

위 차트 이미지는 윌리엄 오닐 회사에서 운영하는 마켓 스미스(Market Smith)라는 HTS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주가 차트 모습입니다.

마켓 스미스 주가 차트에서는 보다시피 기본적으로 RS Rating Line(RS 라인)과 점수를 기본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기관투자자의 매수 추이, 분기, 연도별 ESP 증가 추이, 컵앤핸들 차트 패턴 등 주요한 주식 차트 패턴을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 차트에 붉은 동그라미 원 안의 숫자를 보면 90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RS Rating 점수입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설령 단타를 하는 분들이라 할지라도 꼭 윌리엄 오닐이 쓴 책 은 한 번쯤 읽어 보길 권합니다.

단타와 스윙, 장기 투자는 수익을 낸다는 관점에서의 접근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스윙이나 단기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진입 시점을 잡을때는 5분, 10분 차트를 보고 진입 시점을 잡기 마련이기 때문에 뭘 공부하든 본인에게 손해 나지 않으니 다양하게 많이 배우고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절대 손해가 아니란 점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윌리엄 오닐은 자신의 책에서 상대강도 지수(RS)를 활용해 어떻게 투자 종목을 선정하고 활용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부분이 나오는데요.

그 본문 내용을 여기에 조금 옮겨와 보면 이렇습니다.

어느 종목의 지난 52주간의 주가 상승률을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나머지 종목 전체의 상승률과 비교해 점수를 매긴다. 각 종목의 점수는 최저 1점에서부터 최고 99점까지 주어진다.

RS 점수가 99점이라는 것은 이 종목의 주가 상승률이 나머지 99% 종목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RS 점수가 50점이라면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 중 절반은 이 종목보다 수익률이 높고, 나머지는 떨어진다는 것이다.

참고로 주식 초보자라면, 윌리엄 오닐을 비롯해 유명 투자자의 다양한 주식 투자 필독서 추천 20권 포스팅을 보시면 구체적으로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지 수준별로 정리를 해 두었으니 참고하면 좋습니다.

반드시 반복해 읽어야 할 주식책 추천 20권!【수준별 주식공부법】

주식 투자를 배우고 익히기 위해 반드시 반복해 읽어야 할 주식책 추천 20권을 소개합니다. 아울러 수준별 주식 공부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합니다. 추천 책 목록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가장

상대강도 지수(RS) 평가 원리

윌리엄 오닐의 RS 점수 평가 시스템을 올바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IBD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비용이 비싼 터라 웬만한 개인투자자들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위 내용에서 보다시피 윌리엄 오닐의 상대강도지수 RS 점수의 판별 및 활용 구조는 단순합니다.

정리하면, RS점수는 0~99까지 총 100단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점수가 높을 수록 투자 가치가 높은 종목으로 분류됩니다.

RS 99점은 상위 1%에 속하는 종목이며, RS 98점은 상위 2%에 해당하는 종목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상대 강도가 높은 종목이란 의미가 됩니다.

윌리엄 오닐이 투자하는 종목의 대부분은 주로 RS 80~90점 밴드 안에 들어가는 종목들입니다.

상대강도 지수 점수가 높은 종목을 고르는 것이 1순위긴 하지만, 이것만으로 투자를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실적(EPS를 기준으로 삼음) 이 분기 또는 매년 최소 20~30%를 넘지 않으면 아무리 RS 점수가 높아도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더해 신제품, 신사업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평가지표인 CANSLIM을 대입해 종목을 골라낸 후 투자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상대강도 지수만 보고 단순히 투자하면 안 된다는 점 또한 미리 밝힙니다. 주가는 결국 실적 성장과 미래 성장 잠재력이 주가 상승의 키(Key)이자 알파와 오메가이기 때문에 장기 투자자라면 더욱더 이 관점을 포기하거나 내려놓지 마시길 권장드립니다.

[주식 차트 보는법] 최적의 매수 타이밍 손쉽게 아는 방법(단타, 스윙 매매기법)

오늘은 단타 또는 스윙 투자 시 최적의 매수 타이밍 손쉽게 아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주식 차트 보는 방법과 시각만 업그레이드해도 사실 크게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설명은 아셈스 주

RS 라인 주가 차트 적용방법

삼성전자 윌리엄 오닐 상대강도지수 RS 차트 적용 화면

삼성전자 윌리엄 오닐 상대강도지수 RS 차트 적용 화면

윌리엄 오닐의 RS 지수 평가 시스템은 오닐이 제공하는 IBD HTS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 그동안은 거의 사용 또는 직접 투자에 활용을 하지 못해서 늘 아쉬움으로 남곤 했는데요.

최근에는 트레이딩뷰에서 리차트 뮬리건이란 친구가 RSI)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교육 — TradingView RSI)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교육 — TradingView 이 상대강도 RS 지수를 주가 차트에 보조지표로 적용할 수 있도록 리처드 뮬리건이 무료 공개하고 있어서 편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대 강도 지수 R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트레이딩 뷰를 사용해야 합니다. 무료로 이용 가능한 보조 지표를 주가 차트에 추가해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따라서 한 번씩 적용해 보기를 권해 봅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 코스피, 코스닥 지수도 적용 가능합니다.

트레이딩뷰 상대강도지수 RS 라인 설정 화면

트레이딩뷰 상대강도지수 RS 라인 설정 화면

위 이미지는 테슬라(TSLA) 주가 차트 상단 패널에 RS 라인을 추가한 모습입니다. 보다시피 현재 RS 점수는 81 정도 됩니다.

실제 투자 현장에서는 윌리엄 오닐에서 밝힌 점수 체계만으로 투자 결정은 하지 않고 RS 라인 선과 점수를 같이 병행해서 해석해 매수 유무를 결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하나씩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레이딩 뷰 사용법 - 메인 차트 화면 설명 ② [Tradingview 사용법]

이번 포스팅은 트레이딩 뷰 메인 차트 화면 구성 요소 및 기능 그리고 나에게 맞는 차트 화면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차트 세팅에서 이벤트 메뉴 설정법을 통해 트레이딩 뷰

1. RS 보조지표 검색하기

보조지표 추가(indicators)

트레이딩뷰 상단의 ① indicators를 클릭합니다. 설명은 영문 버전으로 설명하지만 한글 버전을 쓰시는 분들이라 하더라도 메뉴 구조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므로 따라서 설정하면 됩니다.

② 검색입력창에 'Relative Strength'를 입력합니다.

③ 목록화면에서 'TraderLion's Relative Strength Line'을 선택합니다.

2. RS 보조지표 차트에 추가 하기

위 이미지가 TraderLion's Relative Strength Line이 주가 차트에 포함된 화면입니다. 테슬라 주가 차트 화면의 주황색은 지수 차트인데, 보니까 비트코인 차트네요.

트레딩뷰의 가장 큰 장점은 차트 위에 다른 차트를 여러 개 겹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투자 금융 자산 간의 상호 비교를 통해 어느 쪽이 현재 강한지를 확인하기 좋아 애용하는 편입니다.

문제는 너무 많은 선이 한 화면에 표현되어 보임에 따라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RS 라인을 상단 패널로 이동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3. RS 보조지표 상단 패널로 이동 하기

상대강도지수 RS 라인을 상단 패널로 이동하는 방법은 먼저 조금 전에 추가한 TraderLion's Relative Strength Line의 속성 값의 변경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데요.

트레이딩 뷰는 주가 차트에 새롭게 추가된 보조지표는 맨 좌측 상단에 표시가 되어 보입니다.

①번이 바로 좀 전에 추가한 TraderLion's Relative Strength Line인데요. 맨 끝에 보이는 점세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드롭 박스 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②Move to 를 선택한 다음 ③New pane above를 선택하면 됩니다. 아래로 보내고 싶다면 New pane below를 선택하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새로 추가한 보조지표를 한번 마우스로 먼저 한번 선택 클릭한 뒤, 우측 마우스를 클릭해도 위와 동일한 속성 변경을 위한 드롭 박스 메뉴가 나타납니다.

위 이미지가 상단 패널로 RS라인을 이동시킨 결과 화면입니다.

자 한결 화면이 정리된 듯 깔끔해 보이지만, 상대강도 지수 RS 라인을 보면 RS 점수는 표시되지 않고 복잡한 선만 표현되어 있는데요.

여기에 RS 점수를 나타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4. RS 점수 나타내기

상대강도지수 RS 점수를 차트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차트 속성 변경을 하면 됩니다.

① RS 선차트를 선택 후 더블클릭하면, 드롭 박스 설정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②Hide Relative Strength Rating Label을 체크 해제합니다.

그러면 보다시피 ③RS 점수가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라인선만 나타나길 원하는 경우는 속성 설정값에서 Hide Relative Strength Moving Average를 선택하면 위 화면처럼 단일 선으로만 표시가 됩니다.

색상은 상승과 하락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어 있는데, 이 색상은 바로 위의 색상 패널 창에서 만지작 거리면 원하는 색으로 변경도 간능합니다.

차트 화면에 RS 점수가 표시된 화면입니다. 깔끔은 하지만, 선이 좀 지저분해 보이므로 단순한 라인선으로 나타내는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5. 주가지수 변경하기 (중요)

주가지수 변경이란 국내 삼성전자 주식의 RS 점수를 보고 싶은 경우는 삼성전자가 소속된 코스피 지수로 변경을 해야 합니다.

TraderLion's Relative Strength Line 보조지표를 추가하면 기본 셋팅 값은 SPX (S&P 500 주가지수)로 맞춰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조 지표 상단 패널의 속성 값을 변경할 수 있는 ① 톱니바퀴 모양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처럼 보이는 메뉴에서 Calculate Relative Strength vs Index의 ② SP:SPX 를 클릭합니다.

코스피 지수로 변경을 하고 싶은 경우 Kospi Composite Index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Kospi라고만 입력을 해도 목록이 뜨므로 해당하는 지수를 선택하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코스닥의 경우라면 Kosdaq Composite Index 를 선택하면 됩니다. S&P500도 마찬가지로 직접 입력한 후 해당하는 국가 또는 종목이 포함된 주가지수로 설정해 주면 됩니다.

위는 삼성전자 주가 차트와 상단 패널에는 윌리엄오닐 상대강도지수 RS가 적용된 화면입니다.

주식 단타 매매기법, 프라이스 액션(Price Action) 주식투자 활용하기!

주가의 움직임은 언듯 보면 맥락 없이 상승과 하락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잘 찾아보면 희미하게나마 그 흐름 속에서도 패턴을 갖고 움직인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꼭 단타 투자가

결론 및 요약

오늘은 윌리엄 오닐이 쓴 에 나오는 상대강도 지수 RS를 트레이딩 뷰에 적용 및 활용해 투자 종목을 골라보는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을 했지만, 단순히 RS 지수 만으로 투자 종목을 고르면 않됩니다.

1차 적으로 지수대비 강한 흐름을 보이는 종목을 고른 후 할 일은 펀더멘털과 같은 재무, 실적, 최근 호재 뉴스나 이슈도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당연하 주가 차트는 어떤 모습과 패턴을 하고 있는지, 거래량은 점차로 축소되고 있는지 증가하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봐야 보다 상승 확률 높은 종목을 골라낼 수 있게 됩니다.

윌리엄 오닐과 함께 마크 미너비니의 주가지수 대비 상대 강도 관련 RSI) — 테크니컬 인디케이터 — 교육 — TradingView 내용의 글도 읽어 보기를 권합니다.

*Disclaimer : 주슬금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투자 > 주식차트보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차트 보는 법] 이동평균선 활용 매매의 핵심, 지지와 저항 이해하기 (16) 2022.08.02
[주식차트 보는 법] 52주, 역사적 신고가 종목 위주 매매해야 하는 이유! (5) 2022.08.02
윌리엄 오닐, 상대강도지수(RS) 손쉬운 설정으로 주식차트 보는법 소개 (8) 2022.07.31
[주식 차트 보는 법] 355페이지 차트북 PDF 파일 공유 (윌리엄오닐, 마크미너비니, 댄쟁거 등) (168) 2022.07.30
주식 단타 매매기법, 프라이스 액션(Price Action) 주식투자 활용하기! (6) 2022.07.13
하락장 매매기법 - 상대 강도(RS) 모르면 손해인 이유! (RSI 아님!) (10) 2022.06.10

Cretian 2022.08.06 20:04 신고 더보기

Tradingview를 사용하여 삼성전자 차트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TR's RS Line에서 핑크빛 동그라미가 나타내는 의미가 궁금하네요.

1) The Pink Dot symbolizes the RS Line reaching new highs before price.

제작자 리처드 뮬리건의 설명에 따르면 직전 고가라인 근접상태일때 핑크 닷으로 표시를 하도록 한 것이므로, 실제 RS 라인 사용할때 직전 라인을 넘어서 우상향 하는지, 그래프가 느슨하게 하락 추세인지도 중요한 포인트가 되요. 단순히 RS 점수만 보지 마시고, 그래프가 우상향 상태로 근접하고 있는지 같이 보시면서 판단하시는게 더 유용합니다.

hae1 2022.08.09 22:33 더보기

안녕하세요 최근 윌리엄 오닐 도서를 읽어서 해당 콘텐츠를 되게 흥미롭게 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보면서 드는 궁금증이 몇가지 있어 댓글을 남겨봅니다.
1. 위에 상대강도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주셨는데, 여기서 나오는 상대강도 rating의 계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기준에 따라 물론 다를 수 있지만 위의 차트 기간 동안삼성전자의 상대강도점수가 84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아서요)
2. 그리고 상대강도선은 해당 종목이 속한 index에 따라 바껴야 한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해당 종목의 시장을 위에 설정에 따라 바꾸면 해당 종목 vs 시장에 속한 종목을 상대 강도에 따라 순위를 매겨 위의 rating이 계산되는 과정인가요?

RS Line은 리처드 뮬리건이라는 투자자이자 유튜버가 스크립트를 만들어 공개배포하는 것입니다.

이 친구에게 문의를 해 보지 않는 이상은 좀 어려울 것 같기는 합니다만, 이 친구 유튜브를 들어가서 보시면 미국 현존 유명 투자자들과 인터뷰 및 교류를 하기 때문에 특히 윌리엄 오닐쪽 사람들과도 연이 닿아 있기 때문에 관련해서 소스를 충분히 얻었을수도 있고, 미국 시장에는 이 RS 계산 공식이 공개되어 있긴 한데, 설왕설래 말들이 많습니다.

IBD 근무하던 직원이 공개한 것이니 뭐니 하는 말들인데요. 윌리엄 오닐은 공개적으로 해당 Rating 시스템은 따로 공개한 적이 없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배포처를 한번 방문해 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추가로 IBD에서 데이비드 라이언 시황 영상(기억이 나질 않는데) 보면 RS 점수가 높은데 주가가 하락한 상태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제가 RS를 따로 보지 않아서 그다지 관심두고 보지 않아서, RS점수로 투자를 할 때의 단점에 대해서도 언급한 내용이 있는데, 말씀하신 그 지점에는 말씀하신 궁금증, 의문이 들수있다고 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RS rating은 해당 국가별 인덱스를 기준으로 해야 하는 것도 당연히 맞습니다.

윌리엄 오닐 홈페이지에 밝히는 바에 따르면

RELATIVE STRENGTH RATING
This technical tool is one of the most popular ways for clients to see the market’s top performers. The Relative Strength Rating is the result of calculating a stock’s percentage price change over the last 12 months. A 40% weight is assigned to the latest three-month period; the remaining three quarters each receive 20% weight. All stocks are arranged in order of greatest price percentage change and assigned a percentile rank from 99 (highest) to 1 (lowest).


RS 포물라는 연중 주가 변화를 분기별로 나누어서 가중치를 부여해 측정한 상대강도를 상장된 전체 종목과 비교해 레이팅 한 것이라 볼 수 있는데요.

말씀하신 의문점 중에서 개인적으로도 조금은 확신을 할 수 없는 것이 트레이딩뷰에서 전체 코스피 인덱스 선택을 한다 하더라도 국내 시장에 상장된 전체 종목 정보를 비교한 값인가에 대해서는 사실 확신이 없습니다.

다만, 원작자에게 문의를 한다거나, 또 한가지 기준은, 해당 Rating을 가지고 다른 코스닥 또는 코스피 종목을 비교해 보면서 적절하게 적용할 만한 것인지를 비교해 보면서 판단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아닐까 합니다.

hae1 2022.08.11 00:32 더보기

넵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로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해진울여팔선 2022.08.22 13:36 신고 더보기

탈레스님 안그래도 RS 관련 트레이딩뷰 스크립트를 이것저것 찾아서 적용해 보고 있었는데 리처드 뮬리건이 만든 자료라면 더할나위 없이 좋은 자료겠네요! 마켓스미스 월 결제금액을 보고나서는 저건 최소 투자자산이 억은 되어야 쓸 수 있겠다 싶었는데. 저를 위해(?) 참 시기적절하게 포스팅 해주신것 같습니다 ㅎㅎ
답글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