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블로그
이 패턴은 두개 이상의 봉이 고가를 더이상 갱신하지 못하고 고점을 일치하는 형태를 띠는 패턴으로 일치하는 고점이 저항선으로서 역할을 하며, 상승추세에서 이 패턴은 향후 주가하락을 예고해 주며 이에 대한 기타 보조지표들이 하락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추세 연속 패턴 확인할 수 가 있다.
2. 상승 집게형(Tweezers Bottom)
이 패턴은 두개 이상의 봉들이 저가를 더이상 갱신하지 못하고 저점을 일치하는 형태를 띠는 패턴으로 일치하는 저점이 지지선으로 역할을 하며 하락추세에서 이 패턴은 향후 주가의 상승을 예고해 주며 이에 대한 확인은 기타 보조지표들이 상승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3. 하락 반전형(Bearish Counterattack Line)
하락 반전형 패턴으로 서로 상반된 색깔을 갖는 봉의 종가가 같은 경우로서 첫번째 봉은 음봉이고 두번째 봉은 양봉이며 각각의 봉은 긴 몸통을 가지는 형태의 패턴으로서 상승추세에서 발생한 이 패턴은 향후 하락반전 작용을 하게되며, 다음날 주가 하락으로 직전종가보다 낮은 수준에서 새로운 종가가 형성되면 하락반전 가능성의 신뢰도는 더욱 높아지며 이패턴과 같이 하락반전 작용을 암시하는 먹구름형(Dark- cloud Cover)패턴 보다는 신뢰성이 떨어진다.
4. 하락 장악형(Bearish Engulfing)
하락장악형 패턴으로 최종일봉의 몸통이 전날 몸통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며 형성된 패턴으로 서로 상반된 색깔을 갖는 봉으로 구성된다.
상승추세중 발생한 이 패턴은 향후 하락전환 작용을 예상할 수 있으며, 상승추세의 정상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 했다면 매도에 임해야 하며, 다만 명확한 추세확인과 보조지표의 하락확인이 전제 되어야만 바람직하다.
5. 상승 십자별형(Bullish Doji Star)
전날의 강한 음봉 이후 하락갭을 발생하며 십자형(Doji)이 형성된 패턴으로 향후 상승 전환 패턴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임을 암시하고 있고 추세 연속 패턴 이 패턴 만으로 상승전환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보다는 다음날 강한 양봉이 발생하며 샛별형(Moring Star)패턴이 완성된 다음 상승전환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게 바람직하다.
6. 하락 잉태형(Harami Cross in Downtrend)
잉태형으로서 전날봉이 최근일 봉을 감싸는 형태의 패턴으로 이 패턴은 하락추세에 따라 상승 반전작용을 할수 있다는 점을 내포 하고 있으며 하락추세라면 전날의 봉이 음봉이어야 향후 추세전환을 예상해 볼수 있으며 최근일 봉의 몸통과 그림자가 작을수록 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7. 상승 잉태형(Harami Cross Up Trend)
잉태형으로서 전날봉이 최근일 봉을 감싸는 형태의 패턴으로 이 패턴은 상승추세에 따라 하락 반전작용을 할수 있다는 점을 내포 하고 있으며 상승추세라면 전날의 봉이 양봉이어야 향후 추세전환을 예상해 볼수있으며 최근일 봉의 몸통과 그림자가 작을수록 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8. 잉태형 상승추세(Harami in Uptrend)
잉태형은 전날봉의 몸통이 최근일 봉의 몸통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상승추세에서의 이 패턴의 발생은 더이상 높은 가격으로 매수하려는 세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락반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최종일 봉의 고가와 저가가 전날봉의 몸통 안에서 완전히 포함 된다면 주가 하락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최근일 봉의 몸통과 그림자가 작을수록 하락반전 가능성의 신뢰도는 더욱 높다.
9. 잉태형 하락추세(Harami in Downtrend)
전날봉의 몸통이 최근일 봉의 몸통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하락추세에서 이 패턴의 발생은 더이상 낮은 가격으로 매도하려는 세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승반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일 봉의 고가와 저가가 전날 봉의 몸통 안에서 완전히 포함된다면 주가의 상승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최근일 봉의 몸통과 그림자가 작을수록 상승반전 가능성의 신뢰성은 더욱 높다.
10. 관통형(Piercing Line)
하락추세에서 나타난 관통형 패턴으로 최근 일봉은 긴양봉이며, 전날봉의 긴음봉 형태를 띠며 최근일 봉의 시가가 전날봉의 저가 위에서 형성되고 종가는 전날고가를 상향하지 않고 근접한 수준에서 형성되는 형태를 띤 패턴으로 중요한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하며 최종일 봉의 종가가 전날봉의 고가에 많이 접근할수록 상승반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며 매수에 임해야 한다.
다만 종가가 전날캔들 몸통의 50%이상을 상향하지 못하고 이패턴이 완성되었다면 매수를 유보하는것이 바람직하다.
11. 먹구름형(Dark-Cloud Cover)
먹구름형 패턴으로 최종일의 봉은 긴몸통을 가진 음봉이며, 전날봉은 긴몸통의 양봉으로서 최종일 일봉의 시가는 전날 일봉의 고가 위에서 형성되며 종가는 전날 일봉의 저가 근처에서 형성되는 패턴이며 이때 저가에 접근하면 할수록 하락반전 가능성의 신뢰도는 더욱 높아지며 상승추세 정상권에서 이패턴의 발생은 중요한 하락반전 신호로 매도에 임해야 하며 이때 최종일의 종가가 전날 일봉몸통의 50% 이상을 하향하지 못한 경우에는 매도를 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불완전 관통형(Umcomplete Piercing Line)
관통형 패턴으로 최종일 일봉은 긴 양봉이고 전일의 일봉은 긴 음봉으로
전날음봉의 저가 아래에서 최종일봉의 시가가 형성되고 종가는 전날의 고가를 상향하지 않고 근접한 수준에서 형성되는 형태를 띤 패턴으로 이때 최종일 일봉의 종가가 전날 일봉의 고가에 많이 근접하면 할수록 상승반전 가능성은 높아지며 하락추세의 바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중요한 상승 반전의 신호로 매수를 고려해야 하며 최종일 종가가 전날 일봉의 몸통을 50%이상 상향하지 못하였다면 매수를 유보하는것이 바람직하다.
13. 불완전 장악형(Uncomplete Engulfing)
서로 상반된 색깔로 같은 2개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종일 일봉의 몸통이 전날 일봉을 감싸는 형태로 상승장이나 하락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패턴으로 향후 장세전환을 예고하고 있으나 이 패턴의 해석은 비록 추세가 단기간에 형성 되었다 하더라도 상승추세와 하락추세가 명확하게 설정된다는 점과 상승추세라면 양봉과 음봉 순이고 하락추세라면 음봉과 양봉순으로 패턴이 형성되어야 추세반전의 가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4. 불완전 잉태형(Uncomplete Harami)
잉태형 패턴의 일종으로 최종일의 일봉이 십자형(Doji) 형태를 취하고 있고 다음날 일봉은 최종일 일봉을 감싸는 형태로 추세판단이 명확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한 이패턴의 하락 또는 상승 추세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반전 작용을 할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패턴으로 상승추세에서 발생했다면 양봉후 십자형(Doji)이 하락추세에서 발생했다면 음봉후 도지가 형성되어야 반전패턴으로 볼수 있으며 잉태형(Harami)보다는 신뢰성이 높은 패턴이다.
15. 상승 장악형(Bullish Engulfing)
상승장악형 패턴으로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일봉으로 최종일의 일봉은 양봉이고 전날의 일봉은 음봉으로 최종일의 일봉 몸통이 전날일봉의 몸통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하락추세 지속 이후 이 패턴의 출현은 향후 상승전환을 예상해 볼수 있으며 보조지표의 하락과 더불어 이 패턴이 발생 했다면 향후 주가상승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수 있으며, 이 패턴은 상승전환 작용을 하게되며 명확한 하락추세 이후 발생했다면 매수에 임해야 한다.
16. 상승 반전형(Bullish Counterattack Line)
상승 반전형 패턴으로 서로 상반된 색깔을 갖는 일봉의 종가가 같은 경우로서 최종일 일봉은 양봉이고 전날 일봉은 음봉이며 각각의 일봉은 긴 몸통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패턴으로서 하락추세에서 발생한 이 패턴은 향후 상승반전 작용을 하게되며 다음날 주가 상승으로 직전종가보다 높은 수준에서 새로운 종가가 형성되면, 상승반전 가능성의 신뢰도는 더욱 높아지며 이패턴과 같이 상승반전 작용을 암시하는 관통형(Piering Line) 보다는 신뢰성이 떨어진다.
17.불완전 십자별형(Uncomplete Doji Star)
몸통을 가진 전날의 일봉과 상승또는 하락 갭을 가지면서 다음날 십자형(Doji)이 형성된 패턴으로 추세가 불명확한 상태에서 발생한 이 패턴은 향후 추세가 전환될수 있다는 경고 신호 정도로 해석 할수 있으며, 추세 반전에 대한 확신은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추세에 대한 명확한 판단과 더불어 다음날 샛별형, 또는 석별형 패턴(3개의 봉으로 해석쪽 참조)으로 완성된 다음에야 추세전환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인식할수 있다.
전날의 강한 양봉 이후 상승갭을 발생하며 십자형이 형성된 패턴으로 향후 하락전환 패턴으로 반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임을 암시하고 있고, 이 패턴만으로 하락전환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보다는 다음날 약한 음봉이 발생하며 석별형(3개의 봉으로 해석쪽 참고) 패턴이 완성된 다음 하락전환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게 바람직하다.
17-3 캔들차트 보는요령(3개의 봉으로)
1. 스톨드 패턴(Stalled Pattern)
적삼병 패턴의 변형으로서 세번째와 두번째 고가가 신고가를 만들며, 첫번째 양봉의 몸통이 전날들의 몸통에 비해 작으며 때론 스타(Star)형을 만들면서 형성되는 패턴이다.
지금까지 상승추세가 지속된다는 모양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첫번째 일봉이 상승갭을 발생시키면서 형성 되었다면 이제까지 상승추세가 계속 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와같은 판단은 향후 이브닝스타 패턴이 완성되고, 하락추세가 이어지고서야 확인할 수가 있다.
2. 흑삼병(Three Black Crows)
흑삼병 패턴으로 3개의 음봉이 연속해서 하락하면서 형성된 패턴으로 각 일봉의 시가는 직전음봉 몸통내에서 형성되며 각 음봉은 저가에 근접하여 종가를 형성하는 형태의 패턴으로 주가가 꾸준하게 하락하는 시장상황을 보여주는 패턴이다.
각 음봉의 그림자가 거의 없을수록 시장이 강하게 하락세로 반전 되었음을 보여주는 경우이다. 이 패턴은 하락 지속형으로 작용하는 패턴이다.
3. 적삼병(Three White Soldiers)
적삼병 패턴으로 3개의 양봉의 종가가 연속해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이 패턴은 하락추세 이후 저가권에서 발생하였다면 향후 추세상승을 예고해 주며 주가가 꾸준하게 상승하는 경우이다.
그림자가 거의 없을수록 시장이 강하게 상승세로 반전 되었음을 보여주는 패턴으로서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하게 된다.
4. 샛별형(Moring Star)
샛별형 패턴으로 하락추세중 전전날의 일봉은 긴 몸통을 가진 음봉 형성후 전날 작은 몸통을 가진 스타(Star)가 출현함으로써 매도세력이 더 이상 낮은가격으로 매도를 원치않는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로, 이후 긴 몸통을 가진 양봉이 출현함으로써 완성된 이 패턴은 시장 상승세로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긴 하락추세 이후 바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하였다면 적극 매수에 가담해야 하며 신뢰성이 매우 높고 아주 중요한 상승 반전 작용을 하는 패턴이다.
5. 트라이얼 스타(Trial Star)
3개의 십자형(Doji)으로 구성되어 나타나는 이 패턴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형태로 3개의 일봉이 반드시 십자형(Doji)의 형태가 아닐수도 있고, 때론 스타(Star)형 일봉으로 구성되어 이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승추세나 하락추세의 막바지에 고점이나 저점을 나타내면서, 이 패턴이 발생하였다면 중요한 반전신호를 갖는 패턴으로 작용한다.
6. 쓰리아웃사이드 다운(Three Outside Down)
장악형(Engulfing)패턴과 최종일에 발생된 일봉의 종가가 전날의 종가와 전전날의 시가보다 낮게 마감하여 형성된 이 패턴은 향후 추세의 하락반전을 예상할 수 있으며, 긴 상승추세 이후 정상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하락반전에 대한 신뢰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볼수있다. 이 패턴은 약세 장악형 패턴을 확인하는 작용을 한다.
7. 석별형(Evening Star)
저녁별 패턴으로 상승 추세중 전전날의 일봉은 긴 몸통을 가진 양봉 출현후 전날 작은 몸통을 가진 스타(Star)가 출현함으로써 매수 세력이 더 이상 높은 가격으로 매수를 원하지 않는 상황이 나타난 경우로, 이후 긴 몸통을 가진 음봉이 출현함으로서 완성된 이 패턴은 시장이 하락세로 전환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긴 상승 추세 이후 정상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하였다면 적극 매도에 가담해야 하며, 신뢰성이 매우 높고 아주 중요한 하락반전 작용을 하는 패턴이다.
8. 쓰리인사이드 다운(Three Inside Down)
잉태형 패턴을 확인시켜 주는 형태로 전날에 완성된 잉태형 패턴과 최종일 일봉의 종가가 전날의 종가보다 낮게 마감하면서 형성된 이 패턴은, 향후 추세의 하락반전 작용을 예상해 볼수 있으며 상승추세 이후 이 패턴의 발생은 향후 하락 전환 작용을 하게되며 잉태형 패턴보다 하락반전 가능성이 높은 패턴이다.
9. 까마귀형(Upside Gup Two Crows in Uptrend)
까마귀형 패턴으로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도중 강한 양봉 발생과 이후 일정한 갭을 발생하며 두개의 음봉을 형성하면서 완성되어지는 이 패턴은 최종일 일봉의 몸통이 전날의 몸통을 감싸는 형태로 향후 주가하락을 예고해 주는 하락반전형 패턴에 속하지만, 이 패턴의 전후 주가의 움직임을 고려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까마귀형 패턴으로 하락추세가 계속되다가 2개의 음봉이 발생한 다음 이후 일정한 상승갭을 발생하며 강한 양봉을 형성하면서 완성되어 지는 이 패턴은, 전전날의 몸통이 전날의 몸통을 감싸는 형태로 향후 주가 상승을 예고해 주는 상승반전형 패턴에 속하지만, 이 패턴 전후 주가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11. 쓰리 아웃사이드 업(Three Out Side Up)
최종일의 종가가 전날의 종가와 전전날 시가보다 높게 마감하면서 형성된 이 패턴은 향후 추세의 상승 반전을 예상할 수 있으며 긴 하락추세 이후 바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상승 전환에 대한 패턴의 신뢰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볼수 있다.
12. 어드밴스 블럭(Advance Block)
적삼병 패턴의 변형으로 상승추세에서 형성되며 이 패턴은 각각의 일봉의 몸통이 점점 작아지면서 상승세력이 약해짐을 보여주는 패턴으로 상승장세에 참여한 투자자들이 충분히 있거나 매우 초조한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 패턴으로, 특히 시장이 과열된 경우에 주로 나타나는데 점점 매수세력이 약해지면서 이익실현을 하고 있는것으로 볼수 있다.
17-4 캔들스틱의 활용법
★ 캔들스틱의 활용법 (Candlesticks Method) ★
캔들스틱은 16세기부터 일본에서 사용하던 분석방법으로 그 모양이 양초와 비슷하다 하여 캔들스틱이라 부른다.
이 캔들스틱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구성되며 시가와 종가를 비교하여 봉의 색깔을 결정한다.
이런 이유로 캔들스틱 차트는 수요와 공급의 명확한 크기를 보여주며 대개의 경우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 상승과 하락예측에 있어 다른 차트보다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분석할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캔들차트는 기본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는데, 크게 강세패턴과 약세패턴, 중립패턴으로 나눈다.
1) 장대봉 (Long Body White Marubozu)
이것은 강세패턴으로 시가가 저가에서 시작하여 종가는 고가에서 끝나는 형태로 강세신호이다.
주가가 상당기간 하락후 바닥국면에서 나타나면 강세전환 신호로 인식한다. 통상 몸통은 그림자에 비해 아주 작고 그림자가 몸통의 2배 이상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3) 강세 장악형 (Bullish Engulfing)
이 패턴은 하락장세에서 나타나 상승으로 전환을 암시하며, 둘째날의 긴양선이 첫째날의 작은 음선을 감싼 형태이다.
4) 관통형 (Piercing Line)
이 패턴은 하락장세에서 나타나 상승으로 전환되는 패턴으로 첫째날 긴음선 형성후 둘째날 시가가 첫째날의 종가보다 낮게 시작하여 종가는 첫째날 음선의 50% 이상 올라서 마감하는 형태이다.
5) 잉태형 (Harami / 하락추세)
장악형(Engulfing) 패턴과 반대 모양으로 첫째날의 긴음선에 둘째날의 양선을 감싸 안기는 형태로 하락추세후 이 형태가 출현하면 매도세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6) 잉태형 (Harami Cross /하락추세)
위의 잉태형과 비슷한 형태인데 둘째날의 십자형(Doji)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 잉태형 보다 추세반전 가능성이 휠씬 더 큰 것으로 본다.
7) 역전된 망치형 (Inverted Hammer)
망치가 거꾸로 된 모양을 말하는데 하락장세에서 나타나면 반전신호로 해석한다. 이때 그림자의 길이는 몸통 길이의 2배이상이 보통이다.
8) 십자별형 (Doji Star)
전날의 긴 음선이후 다음날 힘의 균형이 팽팽한 십자형이 나타나는데 이는 추세가 조만간에 변화 될 것이라는 신호로 주가는 조만간에 상승 전환할 것으로 분석한다.
9) 샛별형 (Morning Star)
하락추세의 마지막에 나타나 강력한 추세 전환 신호를 나타내는데 첫째날의 강한 매도세력이 둘째날 점차 줄어들고 셋째날 강한 매수세력이 등장하여 상승추세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10) 상승 집게형 (Tweezers Bottom)
두개 이상의 일봉차트가 더 이상의 저가를 만들지 못하고 저점을 일치시킬때를 나타내는 형태로, 여러 일봉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나 저점을 일치시키는 일봉들이 많을수록 반전 확률은 더욱 더 높다.
11) 잠자리 십자형 (Dragonfly Doji)
시가와 고가, 종가가 일치하는 형태의 차트로 주로 주가 전환시점에서 나타난다. 주로 하락국면의 마지막 국면에서 나타나 급속한 상승 전환 패턴으로 작용한다.
1) 장대봉 (Long Body Black Marubozu)
이것은 약세패턴으로 시가가 고가 부근에서 시작되어 종가가 저가 부근에서 끝나는 형태로 약세 전환신호로 인식한다.
2) 교수형 (Hanging Man)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한 후 과매수 상태에서 나타나는 패턴으로 주가가 상투권에 있음을 암시하며 조만간에 하락으로 전환될 확률이 높다. 이 경우 그림자는 보통 몸통의 2-3배 정도 길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추세 연속 패턴 약세 장악형 (Bearish engulfing)
이 형태는 상승추세의 마지막 국면에서 나타나는데 첫째날의 강한 상승추세를 둘째날 긴음선으로 감싸므로 인해 추세를 하락 반전 시키는 형태이다.
4) 먹구름형 (Dark Cloud Cover)
상승추세에서 형성되는 패턴으로 매수 세력이 전날에 비해 상당히 약화 되었음을 의미하며 첫날의 긴 양선이후 둘째날 시가는 첫째날 고점 위에서 시작하여 종가가 첫째날 몸통의 50% 아래에서 마감되는 형태로 하락전환 신호이다.
5) 잉태형 (Harami / 상승추세)
상승추세 잉태형은 강한 매도세력에 의해서 매수세력이 약화됨을 의미하며 첫째날 긴 양선에 둘째날 몸통에 안기는 형태로 상승추세 이후 이 형태가 출현하면 하락 반전될 확률이 높다.
6) 잉태형 (Harami Cross / 상승추세)
상승추세 잉태형과 비슷한 형태로 둘째날 스타가 십자형으로 변하여 잉태형 상승추세 보다 강력한 반전신호로 일정기간 상승후 이 패턴의 출현은 하락전환 신호로 본다.
7) 유성형 (Shooting Star)
이 패턴은 상승추세의 마지막 패턴으로 시가가 갭을 형성하며 시작한 후 긴 그림자와 함께 고점 형성후 강하게 되밀려 시가 부근에서 종가가 형성되는 경우로 상승추세 말기에 나타나 강력한 하락 전환 역활을 한다.
8) 십자별형 (Doji Star)
전날의 긴 양선 이후 다음날 십자형이 형성되며 조만간 추세전환을 예고하게 되는데 하락전환 신호로 인식한다.
9) 석별형 (Evening Star)
상승추세의 마지막국면에 나타나 강력한 추세 전환 신호를 나타내는데 첫째날의 긴 양선 후 둘째날 스타가 형성되어 매수세의 감소를 나타내며 섯째날 긴음선을 보이며 강한 매도세력의 등장을 암시한다. 강력한 매도신호이다.
10) 하락 집게형 (Tweezer Top)
두개 이상의 일봉이 더 이상 고가를 만들지 못하고 고점을 일치시킬때 나타나는 형태로 이 경우도 상승 집게형 형태와 마찬가지로 여러 일봉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고점을 일치 시킬수록 더욱 반전의 가능성은 높다고 본다.
11) 비석 십자형 (Gravestone Doji)
이 형태는 시초가 이후 강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종가가 저가인 시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할 경우에 생기는 형태로 하락 전환 신호인데 윗그림자가 길면 길수록 휠씬 더 약세이다.
추세 연속 패턴
안녕하십니까 쪠리삼촌입니다. 주식을 할 때 어떻게하면 돈을 벌 것인가를 항상 생각 하실겁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것이 상승추세로 전환하는 캔들패턴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 전환패턴은 이전에 나온 패던들과 비슷한 흐름으로 주가가 흘러가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패턴입니다.
상승 샅바형 패턴이란 추세하락의 마지막 쯤에 나타나는데 몸통이 길면 길수록 신뢰할 수 있습니다. 역망치형이란 빨간색도 있고 파란색도 있는데 색깔이 어떤 색이던지 별 의미는 없고, 그다음 나타날 캔들이 갭을 형성하고 긴 몸통을 형성한다면 추세 전환이 좀 더 확실해 질 것입니다.상승십자잉태형이란 전일 긴 음봉이 발생하고 다음날 짧은 양봉이나 십자형이 음봉에게 감싸이는 형태인데 상승전환이 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전환이되지 않는다면 하락 추세 그대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승장악형이란 상승십자잉태형과는 반대로 전날의 짧은 음봉을 다음날의 긴 양봉으로 감싸는 형태인데 긴 양봉이 나올때 대량의 거래가 같이 나온다면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통형이란 두번째 양봉이 첫번째 음봉을 관통하는 듯한 모양으로 상승하는 것인데, 두번째 양봉의 종가가 음봉의 몸통 절반 정도를 상향으로 돌파해야지 종가가 절반이되지 않는다면 하락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샛별형이란 상승패턴의 대표적인 형태인데 긴 음봉이 나온뒤 짧은 양봉이 나오고, 바로 긴 양봉이 나오는 것입니다.
지금부터는 대표적인 강세 반전 신호패턴들을 보겠습니다.
사다리바닥형이란 마지막 날 대부분의 거래가 시가 위에서 이루어지는데 만약 종가가 하락 마감을 한다고 해도 상관이 없는데, 당일 상승갭이 나오면서 전일의 고점보다 높은 종가의 양봉을 생성하며, 마지막날 장봉이 아니라도 거래랑만 나와준다면 상승 확률이 올라갑니다.
적삼병이란 꼬리가 없거나 짧은 양봉이 세개 연속으로 나타나는 패턴으로 다음날 양봉의 시가는 직전 양봉의 몸통안에 맞물리듯이 시작을 합니다. 사다리바닥형이나 적삼병이 나온다면 다른 상승 추세 패턴들보다 더욱 강한 신호로 보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이러한 패턴들이 상승 추세 패턴의 패턴이지만 이것들만 가지고 상승을 확정할 수 없는데, 이 패턴들을 잘 기억하고 차트분석에 사용하면서 매매를 하시기 바랍니다.
Daum 블로그
캔들 형성 후 직전하락 추세에서 상승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음. 따라서 장의 기조를 살펴보기에 좋음.
잉태된 봉이 십자형인 경우 신뢰도 향상.
빈번히 발생, 형태상으로는 직전의 긴 봉(양봉)을 작은 봉(음봉)이 감싸이는 형태.
하락추세에서 긴 양봉 다음에 짧은 음봉이 출현하였을 때 하락반전의 신호로 간주.
전일 몸통 안에 당일 몸통이 형성되어야 하며, 기존의 추세가 급격한 반전 보다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잉태된 봉이 십자형일때 신뢰도 향상.
두번째 오는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 (단음봉+ 장양봉)
몸통이 전날 몸통을 감싸듯 길게 형성. 하락추세 마지막에 나타납니다.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거래범위가 두번째 봉에 의해
완전히 감싸일수록 신뢰도는 증가함.
만일 두번째 거래에 대량거래가 수반되는 경우 더욱 의미있으며
두번째 오는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 상승추세 마지막에 나타나며
첫번째 단양봉이 두번째 장음봉에 의해 감싸이는 형태,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신뢰도가 높음.
만일 두번째 거래에 대량거래가 수반되는 경우 더욱 의미있으며
색깔이 다른 두개의 긴 캔들이 비슷한 종가를 형성 하였을 경우 이를 직전 움직임에대한
반격이라고 표현하는데, 상승 반격형은 우선 긴음봉과 긴양봉으로 구성되고
두 봉의 종가가 같거나 비슷한 경우를 말합니다.
뒷 양봉이 첫번째 음봉의 몸통 위로 올라가면 형성하게 되는 관통형보다는 반전의
의미가 작지만 나름대로 상당한 신뢰도를 갖음.
중요한 점은 두번째 양봉의 시가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추세를 강하게 이어가다가 크게 반전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색깔이 다른 두개의 긴 캔들이 비슷한 종가를 형성하였을 경우 이를 직전의 움직임에대한
반격이라 표현, 하락 반격형은 우선 긴양봉과 긴음봉으로 구성 두 봉의 종가가 같거나 비슷.
첫번째 양봉의 몸통위로 올라가면 형성하게 되는 먹구름형보다는 반전의 의미가 작지만 나름대로 상당한 신뢰도를 가짐.
중요한 점은 두번째 음봉의 시가가 매우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
기존 추세를 강하게 이어가다 크게 반전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강세반전신호인 비둘기형은 형태상으로는 약한 반전신호인 잉태형과 유나하나
두개의 봉의 색이 음봉으로 동일하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하락 추세후에 긴 음봉이 나타나고 다음날 높게 시작했으나 하루종일 전일 거래범위
내에서 거래가 이루어져 반전의 기미보다는 직전추세로 회귀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많은 시장참여자들로 하여금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기회로 삼도록 한다는 점에서(조정)
다음에 상승반전의 기초를 마련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역설적이지만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며 신뢰도가 매우 높음.
강세반전신호인 막대기 샌드위치형의 개념과 비슷.
하락추세에서 긴 음봉을 형성한 후 다음날 높게 출발했지만 하락하여 전일 저점과
동일한 수준에서 마감을하였다면 이 저점 수준으로 바닥이 형성 되었다는 것을
뜻하며 단기 반등이 임박했음을 나타냅니다.
음봉의 길이보다 동일 저점이 이틀에 걸쳐 형성되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상승반전 형으로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패턴.
형태는 우선 하락추세에서 긴 음봉이 발생한 후 다음날 하락 갭을 두고 작은 몸통을
가진 스타가 생깁니다. 그 다음날 상승 갭을 두고(없을수도있음)
첫번째 음봉 정도의 긴 양봉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스타가 양봉이든 음봉이든
상관없으나 양봉이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할 수 있고, 첫 음봉에 수반되 거래량이 작고
세번째 양봉의 거래량이 많다면 이 또한 반전 가능성을 강화한다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봉과 두번째봉 사이에 갭이 존재, 두번째 세번째 봉사이 갭 존재시는 신뢰도 높음.
대표적인 하락반전 형으로 발생빈도 높음.
형태는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이 발생한 후 다음날 상승 갭을 두고 작은 몸통가진 스타가 생깁니다. 그 다음날 하락 갭을 두고(없을수도있음)
첫번째 양봉 정도의 긴 음봉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스타가 양봉이든 음봉이든 상관없으나 음봉이면 신뢰도가 높고
첫째 양봉에 수반된 거래량이 적고, 세번째 음봉의 거래량이 많다면 이 또한 반전 가능성을 높임. 조정과정에서 스타가 저항수준에서 형성되는 경우 조정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 가능.
하락추세 중 몸통이 긴 음봉 형성 후, 다음 캔들이 하락 갭을 발생하며 Doji가 출현하여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추세가 전환되리라는 경고신호로 다음 캔들이 상승 갭을 발생하며 강한 양봉이 출현함으로써 중요한 상승 전환패턴으로 작용.
샛별형과 모양은 유사하나 신뢰성이 더 강한 패턴으로 하락추세의 바닥권에서
이 패턴을 발견 했다면 매수에 가담해야 한다. 첫번째 봉과 두번째 봉 사이에
갭이 존재하고 두번째 봉과 세번째 봉 사이의 갭 존재는 필수는 아니나
대표적인 하락반전 형, 발생빈도 높음.
형태는 우선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이 발생한 후 다음날 상승 갭을 두고 도지가 생깁니다.
여기까지 흔히 불리쉬 도지 스타라고 하는데, 도지스타의 의미가 기존추세의 변화를 뜻함. 다음날 긴 음봉이 발생하면 이브닝도지스타 이후에 발생하는 음봉의 유무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즉, 이브닝도지스타이후 양봉이 발생하면 도지스타의 추세반전 의미가 사라진다 할 수 있음.첫번째 봉과 두번째 봉 사이에 갭이 존재하고 두번째 봉과 세번째 봉 사이의 갭 존재할 경우 신뢰도가 높다.
빈번하게 발생치는 않지만 강력한 반전 신호의 대표적인 패턴
기존의 추세가 급격하게 반전할 때보다는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움직임을 모색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 할 수 있습니다. 해서 하라미 출현후 바로 직전하락 추세에서 상승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추세 연속 패턴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하락추세에서 긴음봉 다음에 짧은 양봉(음봉이어도 무방)이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출현하면 하라미 형을 완성하게 되고 그 다음날 직전봉들의 고가를 뛰어넘는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면(긴양봉)
상승 잉태 확인형이 되는 것임. 신뢰도 매우 높음.
빈번히 나타나지는 않지만, 강력 반전신호.
기존의 추세가 급격하게 반전하기보다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움직임을 모색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 할 수 있습니다.
하라미 출현후 바로 직전상승 추세에서 하락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추세에서 긴 양봉 다음에 짧은음봉(양봉이어도 무방)이
직전 봉의 몸통 안에 출현하면 완성. 다음날 직전봉들의 저가를 하회하는 강한 하락세를 나타내면(긴음봉)하락잉태 확인형이 되는 것입니다.
형태상으로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인걸핑이라 함.
하락추세 마지막에 나타나며 첫째봉이 음봉, 둘째봉이 양봉인 것을 상승장악형.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거래범위가 두번째 봉에 의해완전히 감싸일수록 신뢰도는 증가, 만일 두번째 봉에 대량거래가 수반되었다면 더 의미있음.
이 상승 장악형이 형성된 후 셋째날 종가가 첫째날의 시가와 둘째날의 종가보다 상승하면 추세의 반전이 확인되는 상승장악 확인형이 되는 것임.
명확한 상승 반전 신호이며 자주 발생하는 편임.
형태상으로 두번째 봉에 의해 첫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인걸핑이라 함.
상승추세 마지막에 나타나며 첫째봉이 양봉, 둘째봉이 음봉인 것을 하락장악형.
첫번째 봉의 크기가 작고 두번째 봉의 크기가 클수록, 거래범위가 두번째 봉에의해
완전히 감싸일수록 신뢰도는 증가한다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두번째 봉에 대량거래가
이 하락 장악형이 형성된 후 셋째날 종가가 첫째날의 시가와 둘째날의 종가보다 하락하면 추세의 반전이 확인되는 하락장악 확인형이 되는 것임. 신뢰도 높음.
캔들 패턴 때려 잡기
역망치형/유성형 을 구분 할 수 있는 것 또한 어디에 위치 하느냐 입니다.
절대 색깔로 구분해서는 안됩니다.
역망치형은 하락추세 또는 저점에서 상승 전환의 가능성을 열 수 있고,
유성형은 상승추세 또는 고점에서 하락 전환의 가능성을 열 수 있습니다.
도지봉을 쉽게 설명한다면, 매도세와 매수세의 비등비등한 싸움을 의미합니다.
하락장에서는 상승전환의 신호로도 분석되지만 상승장에서는 하락장에서의 도지봉만큼의 큰 의미는 없습니다.
잠자리형 도지봉은 저점에서의 상승 전환 신호를 보여주고, 꼬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추가 상승의 여력이 크다고 분석 할 수 있습니다.
무덤형 (또는 비석형) 추세 연속 패턴 도지봉은 고점에서 급락을 신호 할 때 발견됩니다.
장대 양봉/음봉은 각각 저점과 고점에서 추가 상승/하락시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절대 캔들 패턴에 의존하여 투자를 하지 마십시오.
여느 기법과 다를 것 없이, 나무 한 그루 보는것이 아니고 숲을 봐야합니다.
캔들 패턴 또한 다른 분석기법과 같이 활용되었을 때 가장 정교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유성형 (Shooting Star) 예제:
추세 전환을 할때 필요한 캔들.
1. 음봉으로 내려오다가 해머형 (음봉 도지형) 후 양봉이 해머형 이전의 음봉을 커버할만큼의 상승을 보여줘야 추세전환이라고 확신을 할수 있습니다.
2. 유성형의 경우 양봉에서 유성형(음봉도지) 후 음봉이 유성형 이전의 양봉을 커버할 만큼 하락을 보여줘야 추세전환이라고 확신을 할수 있습니다.
3. 도지봉의경우 음봉에서 도지봉 (양봉도지) 후 양봉이 도지봉 이전의 음봉을 커버할 만큼 하락을 보여줘야 추세전환이라고 확신을 할수 있습니다.
저녁별형 ( Evening Star ) - 상승장에서 하락장으로 추세 전환을 예상 해 볼 수 있는 패턴.
별봉의 시가는 선행하는 봉의 종가 보다 높다.
별봉 후행봉의 시가는 별봉의 저가보다 낮거나 같다.
아침별형 ( Morning Star ) - 하락장에서 상승장으로 추세 전환을 예상 해 볼 수 있는 패턴.
별봉의 시가는 선행하는 봉의 종가 보다 낮다.
별봉 후행봉의 시가는 별봉의 고가보다 높거나 같다.
Bullish / Bearish Engulfing (봉삼킴패턴)
후행하는 봉의 몸통이 선행하는 봉의 꼬리까지 삼킬수 있을때를 뜻한다.
불리쉬 (상승을 예견하는) 봉삼킴패턴은 선행하는 음봉의 몸통을 삼키는 장대 양봉이 발견될 때 고려 해 볼 수 있겠으며, 이는 하락장에서 발견 되었을때 상승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베어리쉬 (하락을 예견하는) 봉삼킴패턴은 선행하는 양봉의 몸통을 삼키는 장대 음봉이 발결될 때 고려 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상승장에서 발결 되었을때 하락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흑삼병 (Three Black Crow) - 상승장에서 하락장으로 추세전환이 일어 날 시, 세번 연속의 장대 음봉이 발견 될 때 고려 해 볼 수 있겠으며, 후행하는 봉의 시가는 선행하는 봉의 추세 연속 패턴 몸통 안에서 나와야 한다.
적삼병 (Three White Soldier) - 하락장에서 상승장으로 추세전환이 일어 날 시, 세번 연속의 장대 양봉이 발견 될 때 고려 해 볼 수 있겠으며, 위와 동일하게 후행하는 봉의 시가는 선행하는 봉의 몸통 안에서 나와야 한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