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플랫폼 소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사진=신한은행

외환 플랫폼 소개

사진=신한은행

사진=신한은행

[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신한은행이 ‘S-TBML(Shinhan-Trade Based Money Laundering)’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무역기반 자금세탁(TBML, Trade Based Money Laundering)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은행 측은 외환거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외환 플랫폼 소개

‘S-TBML’이란 무역·외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자금세탁 및 이상거래를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플랫폼을 통해 △무역거래 상대방 및 실소유자 점검 △특이거래점검 △무역서류 정밀점검 등 외환거래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글로벌 제재 리스크 및 이상거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2018년부터 무역기반 자금세탁 점검 노하우를 바탕으로 외환거래 디지털 감시 플랫폼을 개발했다. 개발은 신한DS의 디지털 금융서비스 구축 기술을 활용했다. 지난해 9월에는 AI(인공지능),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접목해 경제제재(Sanction) 자동 탐지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신한은행은 AI(인공지능), OCR(광학문자인식)을 활용하는 무역서류 자동점검 시스템을 도입했다. 무역 증빙서류 수기 점검에 투입됐던 자원의 낭비를 개선했다. 외환거래 점검속도 및 품질도 향상 시켰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복잡한 글로벌 외환거래를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점검하는 것은 은행의 필수 과제다”며 “향후 지속적인 ‘S-TBML’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무역거래와 관련된 자금세탁 및 이상거래를 파악하고 글로벌 제재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외환 플랫폼 소개

설립일자 2012.3.2 대표이사 권준학 대주주 농협금융지주회사 (100%) 주소 (04517)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20 홈페이지 http://banking.nonghyup.com

권준학 사진

NH농협은행은 100%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진정한 국민자본은행으로, 한국 은행업을 대표하는
세계적 은행이 되기 위해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농촌, 섬 등 국내 각지에 분산되어 있는 지점망을 바탕으로 농촌의 복지 증진과 지역 및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NH농협은행 임직원들은 고객님의 행복을 우리의 1차 목표로 정하고 봉사하며, 행복한 미래를 위해
심혈을 기울일 것을 약속드립니다.

1961. 08 통합 농업협동조합 발족(농업은행 · 구농협 통합) 1969. 07 외환업무 취급 개시 1972. 03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업무 실시 1984. 06 은행신용카드업무 취급 개시 1989. 02 금전신탁업무 취급 개시 1990. 02 전국 최대규모 온라인 전산망 최초 구축 2000. 07 통합 농협중앙회 출범(농 · 축 · 인삼협중앙회 통합) 2009. 11 독자브랜드 NH채움카드 출시 2010. 04 NH스마트뱅킹 출시 2010. 10 뉴욕사무소 개설 2012. 03 농협은행 출범 2012. 09 정부세종청사 단독입점 2012. 12 중소기업 금융지원 대통령 표창 수상 2013. 03 하노이사무소 개소 2013. 05 국내은행 최초 자체 신용리스크(Credit 외환 플랫폼 소개 VaR) 측정시스템 개발 2013. 08 뉴욕지점 개점 2013. 09 통합복권사업 수탁은행 선정 2013. 09 북경사무소 개소 2013. 10 아시안뱅커誌 선정 최우수 신용리스크관리 은행 2013. 12 GCF(녹색기후기금)사무국 주거래은행 선정 2014. 03 HSBC 외화송금 품질우수기관수상 2014. 06 인도네시아 BNI 은행과 MOU 체결 2014. 10 대출금 150조, 예수금 150조 돌파 2014. 11 인도 AXIS 은행과 MOU 체결 2014. 12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구축 2015. 01 광화문 NH농협금융PLUS센터 개점(국내1호 은행·증권 복합점포) 2015. 04 'NH스마트뱅킹' 모바일어워드코리아 2015 금융분야 수상 2015. 06 'NH스마트뱅킹' 2015 소비자가 선정한 품질만족 대상 수상 2015. 10 외화송금품질 최우수기관 선정 (SC은행) 2016. 12 NH스마트금융센터 오픈, 핀테크오픈플랫폼 서비스 출시(은행권최초) 2016. 12 베트남 하노이지점 개점, 해외현지법인 농협 파이낸스 미얀마 개점
금융사기근절 최우수기관 선정(금융감독원) 2017. 02 2016년 1사 1교 금융교육 우수 금융회사 선정(금융감독원) 2017. 05 7년 연속 우수콜센터 선정(한국능률협회컨설팅) 2017. 10 클라우드로 자금을 관리해 주는 클라우드브랜치 출시(금융권 최초)
태블릿브랜치로 외화 예·적금 신규가입 서비스 실시(금융권 최초) 2018. 01 2018 KCAB 한국소비자평가 최고의 브랜드 대상 2018. 05 자금세탁방지 전담센터 신설 2018. 07 7년 연속 은행권 사회공헌 1위 선정 2018. 09 농협파이낸스 캄보디아 개점 2018. 11 호치민사무소 개소 2019. 04 P2P금융 증서 블록체인 서비스출시(은행권 최초)
NH디지털혁신캠퍼스 출범 2019. 11 2019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수상 2020.05 10년 연속 우수콜센터 선정 2020. 10 불완전판매 점검 인공지능 도입(금융권 최초) 2020. 10 미얀마 양곤사무소 개소 2020. 12 NH농협카드 프로당구팀「그린포스」창단 2020. 12 ISO 14001 환경경영 국제표준인증 획득 2021. 01 '대출 자동기한연기 AI상담시스템' BM특허 획득 2021. 01 마이데이터 본허가 획득(금융위원회) 2021. 04 홍콩지점 최종인가 획득 2021. 05 생체정보 인증 항공기 탑승 서비스 출시(금융권 최초) 2021. 07 2021년 환경정보공개 우수기관 선정(환경부장관상) 2021. 08 영국 런던사무소 개소 2021. 08 디지털 가상공간 브랜치 독도 오픈 2021. 08 적도원칙 가입 2021. 12 중국 북경지점 최종인가 획득 2021. 12 '중소벤처기업 금융지원' 대통령 표창 수상 2021. 12 금융감독원 주관 '포용금융' 우수상 수상

외환 플랫폼 소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기사공유하기 -->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박소연 기자
    • 승인 2021.11.외환 플랫폼 소개 01 09:40
    • 댓글 0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스위치원 서정아 대표 ⓒ박소연 기자 / 사진 박성래 기자

    사람들은 해외여행 , 투자 혹은 무역 , 최근에는 외화로 수익을 받아 환전해야 하는 유튜버나 블로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환전을 한다 . 그러나 개인이 환전 시 얼마의 수수료가 어떻게 부과되는지는 알기 어렵다 . 스위치원은 복잡한 외환 수수료 체계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환전 시 얼마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고 어디에서 환전해야 가장 유리한지 확인하는 데에도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해 외환 수수료가 없는 환전플랫폼을 개발했다 . 글로벌화 되어가는 금융의 혜택을 모두가 쉽고 투명하게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스위치원의 서정아 대표를 만났다 .

    개별 환전수수료가 없는 비대면 환전서비스

    쉽게 원화를 바꾼다는 뜻의 스위치원은 ‘ 가장 쉽고 투명한 외환 서비스 ’ 라는 비전으로 비대면 온라인 환전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 증가하는 외환거래 규모 대비 , 개인과 중소기업이 겪는 환전의 불편함과 각종 수수료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 쉽고 간편한 서비스를 통해 모두가 기관이나 대기업이 누리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글로벌한 금융 혜택을 온전히 누리는 세상을 만들고자 한다 . 올해 3 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한 예비창업패키지를 최우수로 졸업한 후 , 비즈니스 모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초기창업패키지에도 선정되었다 . 스위치원의 서정아 대표는 홍콩상하이은행과 삼성자산운용 , 벤처 투자회사 등 금융권에서만 10 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베테랑이다 . 전문가로서 외화와 원화 간 환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싶다는 생각으로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다 .

    일반적으로 환율은 현찰 환전일 때의 환율과 송금 환전일 때의 환율로 분류되며 , 은행이 외화를 보관하는 데 드는 운반비 , 보관비 , 인건비가 수수료에 포함된다 . 여기에 은행끼리 외화를 주고받을 때 ‘ 스위프트 ’ 라는 글로벌 네트워크망을 사용하게 되는데 , 스위프트는 구축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용료도 책정되어 있어 결론적으로 소비자들은 비싼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 중간에서 쌓이는 비용들 때문에 환전할 때마다 수수료 개념의 ‘ 스프레드 비용 ’ 을 내고 , 송금을 보낼 때도 송금 수수료와 전신료란 이름으로 일정 부분 돈을 내게 되는 것 . 그러나 비대면 서비스인 스위치원을 이용하면 원화계좌를 오픈뱅킹으로 연동하고 , 외화계좌를 등록해 환전하고 계좌로 송금함으로써 현찰을 사용하지 않아 각종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환헤지 (Foreign Exchange Hedge) 를 비롯한 기타 비용은 환전한 금액에 따라 소정의 이용 비용으로 지불하면 된다 . 금융권에서 일하며 큰 펀드의 포트폴리오들과 비교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싼 환전수수료를 개선하고 싶다는 바람이 창업의 계기가 되었다 .

    “ 자산운용사를 다닐 때 해외주식투자를 하기 위해서 당시에 1,000 만 원을 증권사에서 환전하려고 하니 50 만 원 정도의 수수료가 들더라고요 . 큰 펀드들이 10 억 , 100 억을 환전해도 잘만하면 큰 비용이 안 들었는데 , 개인적으로 환전을 하는데 50 만 원을 부담하는 게 아까웠어요 . 그때 어렴풋이 스위치원 같은 서비스를 떠올리게 된 것 같아요 . 금융 분야에서 일하다 보니 환의 종류 , 환 계좌 , 환전 과정 등은 익숙했지만 , 외환 플랫폼 소개 회사 운영은 전혀 다른 일이어서 사업 초기에 리서치 하고 , 공부도 하고 , 전문성을 갖춘 멤버를 구성하는 데 시간을 많이 쏟았어요 .”

    스위치원이 출시한 외환 수수료 없는 온라인 환전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은 원화계좌와 외화계좌를 연동해 실시간 매매기준율에 따라 개별 수수료 없이 환전을 진행할 수 있다 . 환율 우대 100% 를 책정해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의 환율 우대율을 일일이 비교하지 않아도 되며 , 구독형 서비스와 비슷하게 누적 환전 금액에 따라 고정된 이용료가 청구된다 . 이번 달 환전한 금액이 1,000 만 원이면 만 원이 청구되고 , 환전한 금액이 없으면 청구금이 없다 . 더불어 저렴한 고정 이용료 정책이 투명한 환전 거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 서 대표는 기대한다 .

    회사는 글로벌 펀드 매니저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하며 본격 사업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 블록체인 특구인 부산에 본사를 두고 자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해외송금과 보안 , 인증까지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

    환이 세계화되어가고 있는 흐름에 장벽이 되지 않는 서비스를 만들 것

    디지털화는 금융산업에서도 필수적인 흐름이 되었다 . 온라인환전과 기타 비용을 최대한 감소시켜 소비자들이 혜택을 받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넘어 환전뿐만 아니라 송금 등 이외의 금융서비스도 쉽고 , 간편하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 스위치원의 장기적인 목표이다 .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화가 속도를 내는 흐름에 따라 소비자들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환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 동시에 디지털 취약 계층인 노년층이나 저소득층을 위한 서비스 개발도 앞두고 있다 . 금융위원회의 D- 테스트베드 시범사업 참여도 이러한 서비스 개발의 일환이라고 외환 플랫폼 소개 할 수 있다 . 해당 사업은 금융권 데이터를 활용해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의 사업성 , 실현 가능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 스위치원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안정적인 개발 및 분석 환경에서 좋은 결과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스위치원은 온라인환전 , 해외소액송금 , 디지털 지역 화폐 , B2B 전문 결제 서비스 등 다방면의 미래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핀테크 기업으로의 성장을 꿈꾼다 . 무역 교류 등에 필요한 환전뿐 아니라 대외투자 규모로도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을 잠재력을 가진 시장으로 외환 플랫폼 소개 평가하고 , 법인 설립과 서비스 제공을 진행할 예정이며 일본을 넘어 싱가폴 , 미국 , 런던 등에도 법인을 설립하고 개별 국가 내에서 외환 플랫폼 소개 온라인환전 서비스를 시작으로 각 국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에서 인정받는 글로벌한 환전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외환 플랫폼 소개

    中 크로스보더 외환 지불결제 시스템 발전

    - 기존 외환 대금결제 시스템보다 결제처리가 신속하고 편리해 -

    - 중간 수수료 부담 적어 가격경쟁력 있어 -

    크로스보더(Cross-border) 전자상거래

    -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국경을 넘어 국가 간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모든 형태의 거래
    - 해외직구 등이 이 범주에 해당함


    □ 중국 크로스보더 지불결제 시장 규모

    ㅇ 크로스보더 결제 시장, 2020년엔 198억 위안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웨이신즈푸, 즈푸바오 등 온라인 결제에 익숙한 중국 20~30대 젊은 층의 소비력이 점점 증가하면서 온라인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크로스보더 시장 규모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 현재 중국에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기업만 약 20만 개가 있으며 결제 시장도 2018년에는 152억4000만 위안, 2020년에는 197억9000만 위안으로 성장할 전망

    중국 크로스보더 시장 규모 예측 그래프

    □ 시장성장 배경

    ㅇ 정치적: 정부의 관련정책 규제 완화, 일대일로 정책으로 해외 지불결제 시장 확대

    - 2013년 10월,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외환 지불결제 업무 시범시행에 대한 회답문서' 발표, 크로스보더 지불 결제기업 17개사 가 ' 크로스보더(전자상거래 및 외환지불) 비즈니스로의 확대 시범시행'에 대한 비준 통과

    - 2014년 2월, 중국 중앙은행 상하이지부는 '상하이 시 지불결제 시스템의 크로스보더 위안화 지불서비스 확대에 관한 실시의견' 발표, 이에 따라 상하이인리엔(上海银联), 동방전자(东方电子) 등 크로스보더 지불결제기업 5개사가 크로스보더 위안화 지불 결제업무 자격 최초 획득

    - 2015년 1월, 외환관리국은 '지불결제 시스템의 해외 외환 지불서비스 시범시행에 대한 통지' 발표, 시범구역에서만 실시되던 크로스보더 외환 지불결제서비스가 전국 범위로 확대되면서 즈푸바오(支付宝), 차이징통(才精通), 인리엔 전자상거래(银联电 子商务) 등 17개사가 추가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외환지불 서비스 시범기업 자격 취득.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1회 외환 거래액 한도 또한 1만 달러에서 5만 달러로 상향 조정

    ㅇ 경제적: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의 발전으로 크로스보더 지불결제 산업도 빠르게 발전

    - 2014년 중국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거래규모는 3억75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38.9%의 성장률 보임.

    - 2014년 중국 전자상거래 온라인 소매업 거래규모는 2억7800만 위안(전체 소매업 소비 총액의 10.63%)

    ㅇ 사회적: 해외직구, 해외여행, 유학 등으로 인해 크로스보더 지불결제시장 수요 증가

    - 중국 인터넷 사용자 수는 6억4900만 명으로, 인터넷 보급률 47.9%에 달함.

    - 해외 제품, 해외 여행 및 유학에 대한 수요 점점 증가

    - 2014년 기준 해외 직구 지출액 15억 달러 이상, 해외여행객 수 1억 명, 해외유학생 수 45만 9800여 명

    ㅇ 기술적: 위안화 국제지불 시스템(CIPS) 도입

    위안화 국제지불 시스템(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


    - 중국 인민은행이 2012년 도입한 자금 청산 결제 시스템
    - 중국과 해외에 소재한 위안화 사용자들의 해외 결제 업무를 더 효율적이며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해 위안화 거래를 더욱 원활하도록 돕는 시스템

    - 국제 은행 간 결제망인 스위프트(SWIFT)와의 호환성이 낮았던 기존 지불 시스템과 달리 호환성을 높임으로써 더 위안화 결제가 용이하도록 보완됨

    -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를 앞당기기 위한 중요한 역할

    - 위안화 국제지불 시스템(CIPS) 1기의 온라인 운영 성공. 중국 4대 은행(중국은행, 농업은행, 공상은행, 건설은행) 외 19개 기업 참여

    - 인터넷 및 물류 발전으로 해외 거래가 편리해짐.

    -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원스톱식 물류방식으로 통관, 세금환급 제품 안전 등 번거로운 절차 줄임.

    □ 크로스보더 결제 플랫폼 소개

    - 현재 중국 각지에는 크로스보더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결제 플랫폼이 30개사가 있으며 그 중 23개사가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등 주 요 도시에 위치함.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