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자도 쉽게 따라하는 레벨별 달러 투자법
최근 부쩍 불안해진 금융시장 분위기 탓에 개미들의 투자심리가 안전자산 쪽으로 옮겨 가고 있다. 특히 ‘달러’는 안전자산이 관심을 받는 시기마다 어김없이 떠오르는 매력적인 투자처 중 하나다. 초심자가 외환 투자의 장단점 알아 두면 좋은 달러 투자 가이드라인.
# 직장인 A(35)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주식투자에 재미를 붙였다. 하지만 투자의 달콤한 과실을 즐긴 것도 잠시. 올 들어 재테크의 향방을 잃어버렸다. 연초 예상치 못한 하락장을 탓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수익률을 여태 회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A씨는 여유자금이 생기는 족족 주식에 올인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안전자산에 눈을 돌리기로 마음먹었다.
‘재테크 빙하기.’ 연일 출렁이는 금융시장 탓에 개인투자자들의 뭉칫돈이 갈 곳을 잃은 최근 상황을 비유하는 말이다. 무엇 하나 장담할 수 없는 게 시장이라고는 하지만, 연초부터 불안한 장세가 이어지며 재테크 전망이 급속도로 어두워지고 있다. 더욱이 조만간 미국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과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증시가 더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코로나19 이후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을 넘나들며 주식투자에 열을 올렸던 2030세대는 올해 투자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위기의식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 시장 불안이 큰 상황인 만큼 당분간 안전자산 쪽으로 눈길을 돌리려는 움직임도 잇따른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는 예금이나 달러, 금이 꼽힌다. 특히 올 초 강세를 보였던 달러에 주목하는 개인투자자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안전한 달러 투자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투자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달러 투자 방법을 난이도별로 나눠봤다.
레벨1
달러 투자를 시도해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름 아닌 ‘달러예금’이다. 은행에서 예금 통장을 개설해 원화를 넣어두듯이, 외화 통장을 만들어 달러를 넣어두는 방식이다. 달러가 비교적 저렴할 때 매수해 뒀다가 올랐을 때 환차익을 거두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고 관리가 복잡하지 않아 초보자가 접근하기 쉽다. 간단히 말하자면 달러당 원화값이 1100원일 때 샀다가 1200원으로 올랐을 때 판다면 100원의 차익을 얻게 된다. 환차익에 따른 세금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달러예금 또한 원화예금과 마찬가지로 가입 기간과 그에 따른 이자율이 저마다 다르고, 상품 성격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 목적에 따라 외화 통장을 고르면 된다. 원하는 만큼의 달러를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는 자유적립식 예금 상품이 있는가 하면, 환율 변동에 따라 저축액을 알아서 조절해주는 상품도 있다.
현재 외화예금은 금리가 0%대로 낮은 편이라 이자수익을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대신 최대 5000만 원의 예금자 보호를 받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화예금과 마찬가지로 원리금 손실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외화예금과 원화예금을 합친 총액을 기준으로 예금자 보호를 해준다는 점은 기억해 둬야 할 요소다. 예를 들어 같은 은행에 달러예금 3000만 원과 원화예금 4000만 원을 맡겨 뒀다고 해도, 총 5000만 원까지만 보호해준다.
또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예금자 보호를 해준다고 해서 환율이 하락했을 때의 원금 손실분까지 보호해준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환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지만 환전 시 수수료와 인출 수수료가 붙는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은행에 따라 환전 수수료 우대율과 적용 기준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해보는 게 좋다. 수수료를 따지지 않은 채로 환율 등락에 따라 환전을 거듭했다가는 예상보다 더 큰 손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만약 외화 통장을 개설하지 않은 채로 달러 투자를 경험해보고 싶다면 은행별 환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뱅킹을 통해 직접투자에 나서는 방법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환전 한도와 횟수가 정해져 있어 소액투자만 가능하다. KB국민은행은 ‘KB외화머니박스’, 신한은행은 ‘환전 모바일금고’, 하나은행은 ‘환전지갑’, 우리은행은 ‘환전주머니’라는 이름으로 달러를 은행에 보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이들 서비스는 예금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현찰 달러에 대한 이자는 지급되지 않는다.
레벨 2
달러예금보다 조금 더 많은 수익을 원한다면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달러환매조건부채권(RP)으로 눈을 돌려볼 수 있다. 증권사가 보유한 채권을 개인투자자가 나눠 산 뒤, 약정 기간이 지난 후 이자를 받고 증권사에 다시 파는 상품이다.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달러예금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달러RP는 투자자가 원하는 기간 동안 돈을 맡길 수 있는 ‘수시입출금형 RP’와 약정 기간이 정해져 있는 ‘약정형 RP’로 나뉜다. 이자수익이 일반적으로 0%대에 그치는 은행의 달러예금보다 이자율이 더 높게 책정된다. 추후 환율이 오르면 달러예금과 동일하게 환차익을 볼 수 있다.
장기 투자에 적합한 달러 투자 방법으로는 달러보험이 있다. 오랜 시간 목돈을 묶어 둬야 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자녀의 해외 유학자금, 이민 등 특수한 목적을 갖고 가입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장기 투자인 만큼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며, 저축성 보험에 10년 이상 투자했을 때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달러당 원화값의 등락에 따라 납입하는 보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달러가 비쌀 때는 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은 단점이다. 또 환율 하락기에 보험료를 환급 받으면 손해를 볼 수 있다. 보험 상품 특성상 중도 해지 시 큰 손실을 볼 가능성도 상존한다.
레벨 3
보다 공격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환율과 연동해 외환 투자의 장단점 수익을 낼 수 있는 ‘달러상장지수펀드(ETF)’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달러EFT는 주로 레버리지 혹은 인버스 상품으로 구분된다. 달러당 원화값 상승 혹은 하락에 베팅해 수익을 올리는 방식으로, 주식처럼 사고파는 게 가능하다. 달러가 강세일 때는 ‘달러 레버리지 ETF’, 달러가 약세일 때는 ‘달러 인버스 ETF’가 수익을 낸다. 투자자는 앞으로의 달러 방향성에 맞춰 정반대 성향의 두 ETF 중 한 가지를 선택해 투자하게 되는데, 예측이 틀렸을 때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환차익에 따른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달러예금과 달리 투자수익에 대한 소득세도 내야 한다. 일반적인 ETF 상품처럼 운용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달러화 표시 해외 채권에 직접투자를 하는 것도 일종의 달러 투자다. 다른 투자법에 비해 심리적 진입장벽은 높지만 기대수익률 또한 높은 편이라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도전해볼 만하다. 개인투자자의 경우 채권 이자소득에 대해 15.4%의 소득세를 내야 하며, 환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주식과 달리 외환 거래의 장단점
외환 거래의 많은 신규 이민자들은 초보자 거래자 또는 전통적인 주식 거래에서 외환 거래로 전환하는 거래자입니다. 이 개인들은 항상 외환 거래의 장단점에 대해 문의합니다.
외환 시장에 대해 배우는 사람들은 이전 블로그 기사를 읽는 것이 좋습니다. 외환 거래를 시작하는 방법, 당신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시장에서 XNUMX 달러를 잃기 전에 외환 거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얻을 수있는 몇 가지 실행 가능한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외환 거래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가정하면 백만 달러짜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환 시장에서 거래의 외환 투자의 장단점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셀 수없이 많은 찬반 양론이 있습니다. 따라서이 기사에서는 외환 거래의 주요 장점과 단점.
외환 거래의 장점
- 외환 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크고 유동성이 높은 단일 금융 시장으로, 하루에 5 조 달러 이상이 이동했습니다. 이것은 소매 상인에게 무엇을 의미합니까? 시장은 움직이며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루 거래자가 얼마나 경험이 많은지에 따라 좋거나 나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일상적인 거래를 원하고 적극적으로 자산을 사고 파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시장은 주식 시장과 달리 하루 24 시간 영업합니다. 평균적으로 스프레드는 외환 거래에서 더 타이트하며 거래 비용은 거래 주식에 비해 낮습니다. 거래 외환은 이러한 이유로 인해 거래의 자유에 유리하며 추가 수수료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 않고 거래를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외환 거래와 관련하여 통화의 강점과 명성은 국가 전체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스위스 플래시 크래시와 같은 사건이 있었지만 사건은 푸른 달마다 발생합니다. 매일, 일부 CEO는 범죄 혐의와 그들의 재고 급락에 대해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드물게 통화의 경우입니다. 통화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기본적 및 기술적 기반으로 작동하지만 통화의 기본 측면에서는 불확실성이 적습니다.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주식 거래자는 사용하는 중개인 및 / 또는 국가의 규정에 따라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 3,000에서 $ 25,000 사이가 필요합니다. 최소한 50 달러만으로 외환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이것은 주로 주식 거래 중개인에 비해 Forex 중개인이 얼마나 많은 레버리지를 제공 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가능합니다. 주식 거래에 대한 레버리지는 거의 1:25를 초과하지 않지만 Forex 거래의 레버리지는 1 : 1000에 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양날 칼로 볼 수 있지만 거래자가 적절한 위험 관리를 통합하면 상당히 유리할 수 있습니다.
외환 거래의 단점
- 주식 거래와 반대되는 Forex 거래의 한 가지 주요 단점은 많은 사기꾼과 부정직 한 개인, 심지어 업계의 새로운 소매 거래자 또는 "신선한 피"를 빠르게 벌고 자하는 회사를 끌어들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회사 및 / 또는 개인에게 돈을 전달하기 전에 돈을 투자하기 전에 실사를 수행하고 철저히 조사하십시오. 그들이 당신의 최선의 관심을 염두에 두어야합니다.
- 외환 거래의 또 다른 단점은 레버리지 남용입니다. 새로운 외환 거래자들은 얼마나 쉽게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빨리 배우고 거래 계좌를 얼마나 쉽게 날릴 수 있는지 배우십시오. 우리는 모두 본 적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1,000 주일 내에 $ XNUMX 계정을 두 배로 늘 렸지만 그 후 일주일 내내 계정을 잃게됩니다. 경험이없는 외환 거래자들은 너무 많은 거래를 실행하거나 형편없는 위험 관리라고도 알려진 자기 자본에 이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로트 크기를 입력함으로써 브로커가 제공하는 레버리지를 남용합니다.
- 마지막으로, 외환 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단점입니다. 이것은 모든 것이 카운터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 교환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OTC). 주요 은행과 금융 기관은 극한 상황에서 개입 할 것이지만 이는 드뭅니다. 당신은 잠재적으로 당신의 브로커와 거래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규제되고 신뢰할 수있는 외환 중개인이있는 계좌 만 개설하여 시장 조작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들은 단지 몇 가지 장점과 단점입니다 외환 거래와 주식 거래. 다른 많은 것들이 있지만 우리는 이것들이 알아야 할 주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금융 시장에는 차이가 있지만이 기사에서 다루는 내용은 많이 필요합니다. 두 시장에 기회를주고 자신의 성격에 맞거나 일관된 수익을 올리는 시장을 선택하십시오.
우리가하는 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려면 웹 사이트를 확인하십시오. 집 - Forex Lens
YouTube에서 매일 라이브 거래 세션을 주최하고 있습니다. 다음을 구독하고 알림을 보내십시오. Forex Lens Inc 유튜브
외환 투자의 장단점
코로나 바이러스로 전 세계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달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확대하며 가까스로 경기를 떠받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보통 달러 공급이 늘어나면 인플레이션이 오고 달러 가치는 떨어진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로 달러 공급이 대폭 늘었지만 인플레이션은 오지 않았다. 물론 달러 가치도 떨어지지 않았다.
달러 가치의 복잡한 방정식
달러 가치는 전문가들도 예측하기 어려울 만큼 복잡한 공식을 갖고 있다. 달러의 수요와 공급만으로는 달러 가치의 오르내림을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무수히 많은 변수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 경기가 호황이면 달러 가치는 상승하고 경기가 침체하면 가치는 하락한다. 유럽 경기가 침체하면 달러 가치는 상승하고 유럽 경기가 반등하면 달러 가치는 하락한다. 국제 분쟁이나 갈등 등 국제정세가 불안하면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국제정세가 안정되면 달러 가치가 하락한다. 눈에 띄는 큰 변수들 몇 가지만 적용해도 계산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게 달러 가치다.
트럼프 정부가 시중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했지만 달러 가치가 하락하지 않은 것은 그 만큼 국제정세가 불안하고 미국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달러 가치 하락 요인이 있지만, 그것을 상쇄하는 불황의 그늘이 크다는 얘기다. 지금은 두 흐름의 힘 겨루기가 막상막하 보합세 양상을 보인다고 볼 수 있곘다. 그러나 이후 달러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훨씬 많다. 미국의 경기 불황이 심각할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불안할수록 안전한 달러?
하지만 바로 그런 예측 때문에 달러 투자에 주목하는 사람도 있다. 달러 가치가 떨어졌을 때 달러를 사두고 이후 환차익을 기대하는 심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장기적으로 달러를 보유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당장은 달러 가치가 떨어질 수 있기에 단기적인 환차익을 목적으로 지금 달러를 사려는 것은 위험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보면, 단기 환차익을 목적으로 달러를 사면 손해 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안전자산에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달러를 사두면 주식,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헤지 할 수 있는 분산 투자 효과가 있다. 일반인들도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달러를 보유하는 게 좋다. 꼭 투자가 아니더라도 해외여행을 갈 계획이 있는 이들이 달러를 적립하듯이 보유하는 게 유리할 것이다.
소액으로 달러 투자를 간편하게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달러 통장 이다. 달러 통장이란 쉽게 말해 달러를 저축하는 예금통장을 말한다. 달러 통장이란 말이 별도로 있는 것은 아니다. 정확한 명칭은 외화예금통장이다. 외화예금통장을 은행에 개설해서 원화로 입금하면 달러로 환전해 입금되는 것이다. 찾을 때는 원화 또는 달러로 찾을 수 있다. 이를 편의상 달러통장이라 부른다.
달러통장이란?
달러통장도 일반통장처럼 예적금과 보통예금 중 선택할 수 있다. 환차익이 목적이라면 수시입출금 되는 보통예금으로 달러통장을 만든다. 그러나 이자가 낮다. 안전자산에 대한 장기 보유가 목적이라면 금리가 더 높은 예적금으로 달러통장을 만드는 것이 좋다.
달러통장의 장점은 소액투자가 가능하고 운용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투자 초보자들이 접근하기 쉽다는 것이다 . 외화정기예금 1년 만기 기준으로 기본금리가 연 1.5% 정도다. 환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다. 금리 1.5%에 대한 이자에 대해서만 15.4% 이자소득세를 내면 된다. 일반 예적금처럼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된다. 연소득 2000만 원 이상일 때 내는 금융소득종합과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달러통장의 단점은 환율 하락 시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환율 하락에 따른 손실은 온전히 투자자의 몫이다. 이는 5000만 원 예금자 보호와 상관없다. 환전수수료, 현찰수수료 등 수수료가 많은 것도 단점이다. 현찰수수료는 실물지폐를 거래할 때 내는 수수료인데 이 부분은 가입자가 노력해 어느정도까진 깎을 수도 있다.
모바일로 원화계좌에서 달러계좌로 이체할 때는 환전수수료가 들지만 실물지폐 거래가 없기 때문에 현찰수수료는 없다. 그리고 주거래은행에서 환전우대 받아서 원화를 달러로 바꾸면 수수료 차감효과가 있다. 해외여행에서 쓰고 남은 달러가 있다면 그냥 방치해두는 것보다 환전수수료 없이 입금할 수 있으므로 달러통장에 넣어두는 게 좋다.
자본시장연구원
학력 1989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 1993년 美 American University 경제학 석사 1996년 美 American University 경제학 박사 경력 선임연구위원(국제금융실장), 자본시장연구원, 2011.1~ Senior Economist, IMF(Asia Pacific Dept.), 2006.1~2009.1 부국장, 한국은행, 1989.1~2010.12 국제금융발전심의회 위원 (현) 기획재정부 정책성과평가위원 (현) 기획재정부 규제심사위원 (전) 국민연금 투자정책전문위원회 위원 (전) 국민건강보험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고용노동부 고용산재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예금보험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기획재정부 기금운영평가위원 (전) 한국은행 외화자산운용 자문위원 (전) 신한은행 금융공학센터 경영자문위원 (전)
세미나 발표자료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1. 연구보고서
ㅇ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환율의 변화 및 향후 전망, 이슈보고서 21-08, 자본시장연구원, 2021.5
ㅇ 글로벌 미달러화 자금조달시장의 변화 및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 21-02, 자본시장연구원, 2021.1
ㅇ 남북한 화폐의 구매력 비교와 외환 투자의 장단점 동ㆍ서독 화폐통합 사례의 시사점, 이슈보고서 19-16, 자본시장연구원, 2019.11
ㅇ 우리나라의 대외증권투자시 환헤지의 효과 및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 19-01, 자본시장연구원, 2019.1
ㅇ 최근 원화환율 수준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이슈보고서 18-05, 자본시장연구원, 2018.5
ㅇ 중국의 외환부문 리스크 현황과 평가, 이슈보고서 17-02, 자본시장연구원, 2017.5
ㅇ 국내 금융권 자금흐름의 특징 및 변동요인 분석, 연구보고서 16-06, 자본시장연구원, 2016.12
ㅇ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이슈보고서 16-01, 자본시장연구원, 2016.7
ㅇ 위안화 국제화 가능성 분석 및 국제금융질서변화에 관한 연구, 연구총서 15-05, 자본시장연 구원, 2015.12
ㅇ 우리나라 외환스왑시장의 불균형 및 환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4.12
ㅇ 글로벌 유동성과 국제자본이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3.12
ㅇ 한국 외환시장의 변동성 : 원인과 대응, 이슈정책 13-05, 자본시장연구원, 2013.8
ㅇ 자본시장법과 외국환거래법의 비교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과제, 조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2.11
ㅇ 글로벌 국부펀드 현황 및 시사점, 조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2.5
ㅇ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현황 및 향후 과제, 한중정책연구시리즈, 자본시장연구원, 2011.1
2. 용역보고서
ㅇ 외환시장 전자거래 도입 현황 및 영향 분석, 기획재정부, 2020.12
ㅇ OECD 자본이동자유화 규약 개정 논의 대응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2018.12
ㅇ 국민연금 외환 익스포저 통합 관리 방안, 국민연금공단, 2018.8
ㅇ OECD 자유화규약 및 자본이동관리조치 주요이슈 연구, 기획재정부, 2017.12
ㅇ 외환거래의 시장질서 유지를 위한 법체계 정비 방안,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7.2
ㅇ OECD 자본이동자유화규약 개정 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6.12
ㅇ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4.7
ㅇ 아시아 태평양지역 금융협력 평가 및 과제, 기획재정부 국제금융협력국, 2013.3
ㅇ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기획재정부, 2011.12
ㅇ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부펀드의 발전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국부운용과, 2011.9
3. 학술논문
ㅇ 미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환율 영향 분석, 국제금융연구, 제6권 제2호, 2016.11
ㅇ 외환스왑시장의 불균형에 관한 분석 및 시사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8, Vol.16 외환 투자의 장단점 No.4
ㅇ 서울외환시장에서의 거래량,환율변동성,매입매도스프레드 간의 정보흐름 분석, 금융연구, 한국금융연구원, 2006.12, 20권 2호
ㅇ 주문흐름과 원/달러환율 변동간의 관계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6호, 한국은행, 2006.1
ㅇ 주요국의 환율정책 수행 및 개입비용 분담체계, 외환국제금융리뷰, 제5호, 한국은행, 2005.7
ㅇ 환율변동이 기업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3호, 한국은행, 2004.6
ㅇ 자유변동환율제도 이후 원/달러환율의 변동행태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2호, 한국은행, 2003.12
ㅇ Deviation from Covered Interest Rate Parity in Korea,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제1호
ㅇ 역외 NDF거래가 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1호, 한국은행, 2003.5
ㅇ 환율변동효과의 비대칭성 분석,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 제1호
ㅇ The Causes of Currency Crises: Do Fundamentals Really Matter, 대외경제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가을
ㅇ 외환위기를 전후한 금리,환율,자본이동 관계의 특성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가을
ㅇ 외환시장개입의 환율안정효과, 국제경제연구, 제4권 제2호, 한국국제경제학회, 1998.8
ㅇ 외환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 조사부연구보고서 모음, 한국은행, 조사부, 1998.6
ㅇ 중기 화폐수요 예측모형의 개발, 경제분석, 제4권 제1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1998. I
ㅇ 금융자유화 및 개방화가 국내 금융효율성에 미친 영향, 국제경제연구, 제3권 제3호, 한국국제경제학회, 1997.12
ㅇ 금리,환율의 연관성과 자본이동성, 경제분석, 제3권 제3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1997.8
ㅇ The Effects of Central Bank Intervention in Korea: by Exchange Rate System and Monetary Credibility, Ph.D. Dissertation,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1996
4. 컨퍼런스 발표
ㅇ 미 금리인상 이후 신흥국 환율의 변동요인 및 전망, 국제금융학회-자본시장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4
ㅇ 향후 글로벌 리스크 요인과 원화 환율에 대한 영향, 머니투데이 컨퍼런스, 2013.6
ㅇ 증권사의 외환관련업무 현황 및 확대 방향, 자본시장CEO포럼, 자본시장연구원, 2013.6
ㅇ 한국 외환시장의 변동성 : 원인과 대응전략, 자본시장연구원, 2013.5
ㅇ 우리나라의 해외투자 현황 및 국가투자전략 방향, 류성걸 위원실 공동 주최 : 국부전쟁시대 국가투자전력 어떻게 할 것인가?, 자본시장연구원, 2013.3
ㅇ 2013년 전망세미나: 외환 및 외화자금 시장, 2013 자본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과 동향 세미나, 자본시장연구원, 2013.1
ㅇ APEC Financial Cooperation: Past and Future, International Financial Cooperation Round Table 2012 Jeju, Korea, 2012.12
ㅇ Capital Market Liberaization : Korea`s experience over two decades, 37th IOSCO Annual Conference, Workshop on Developing Institutional Investor Base, May 2012
ㅇ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and Regional Cooperation, Post-crisis Restructure of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The Role of Asia, Institute of Finance and Banking,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11.12 외환 투자의 장단점
ㅇ Korea`s Foreign Exchange Reserves Management and Challenges, 위안화 국제화와 아시아금융협력 국제 컨퍼런스, 자본시장연구원, 2011.4
5. 신문논고 및 기고
ㅇ 한숨 돌릴새 없는 미 환율공세, 서울경제, 2017.4.16
ㅇ 최경환호의 순항 조건, 머니투데이, 2014.8.22
ㅇ 환율하락, 우려만 할 일인가?, 머니투데이, 2014.5.20
ㅇ 해외시장 공략으로 금융국제화 나서자, 머니투데이, 2014.2.27
ㅇ 환율변동성이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되려면, 머니투데이, 2014.1.22
ㅇ 사상최대 경상흑자의 이면, 머니투데이, 2013.12.26
ㅇ 기축통화국의 특권과 책임, 머니투데이, 2013.11.28
ㅇ 잘 나가는 대외부문, 내수가 밀어줘야, 머니투데이, 2013.10.4
ㅇ 우리나라 외환 보유액 더 늘려야 하나, 한국경제, 2013.8.31
ㅇ 최근 신흥국 경제위기가 주는 교훈, 머니투데이, 2013.8.29
ㅇ 외환보유액 확충을 넘어 강한 외환시스템 구축을, 머니투데이, 2013. 7.31
ㅇ 국제금융시장 급변, 환위험 관리 강화를, 머니투데이, 2013.7.4
ㅇ 선진국 통화정책 변화와 경제위기, 머니투데이, 2013. 6.5
ㅇ 아베리스크 대응전략 세울 때, 매일경제, 2013.6.1
ㅇ 엔저의 파고를 다시 넘으며, 머니투데이, 2013.5.9
ㅇ 안정적인 국부자산 관리, 효율적인 해외투자로, 아주경제, 2013.3.20
ㅇ 토빈세 맞짱토론, 한국경제, 2012.11.17
ㅇ 외환시장에서 환율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11.2
ㅇ 원화의 국제화를 위해, 동아일보, 2012.10.17
ㅇ 추가인하 기대감 벌써, 물가 가계부채가 변수, 중앙Sunday, 2012.7.15
ㅇ 환율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6.8
ㅇ 글로벌 금융안전망이란 무엇이며 왜 더 중요해졌나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3.23
6. 기타
ㅇ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의의, 영향 및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1-03호, 자본시장연구원, 2021.2
ㅇ 홍콩 페그제 환율의 안정성과 금융허브 위상,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0-18호, 자본시장연구원, 2020.8
ㅇ 국내 증권사의 외화유동성 위기에 대한 평가와 과제,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0-16호, 자본시장연구원, 2020.7
ㅇ 2019년 글로벌 경제의 하방 리스크와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12
ㅇ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금융환경 변화와 자본시장의 과제,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18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9
ㅇ 환율이 수출 및 내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재고찰,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0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1
ㅇ 북한 리스크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20호, 자본시장연구원, 2017.10
ㅇ 미달러화 강세의 영향과 지속가능성,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01호, 자본시장연구원, 2017.1
ㅇ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 효율적인 대외투자로 이어져야,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6-0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6.10
ㅇ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과 완화적 통화정책,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자본시장연구원 2016-11호, 2016.3
ㅇ 국제유가의 하락 원인 및 영향, 이슈분석, 자본시장리뷰 2016년 봄호, 자본시장연구원, 2016.2
ㅇ 미 금리인상 이후 신흥국 환율의 변동요인 및 전망, 이슈분석, 국제자본시장리뷰 2015 하반기호, 자본시장연구원, 2015.1
ㅇ 미 금리인상과 달러화 강세에 대한 소고, 자본시장 Weekly 2015-13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최근 해외증권투자 확대 배경과 시사점, 자본시장 Weekly 2014-37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최근 위안화 환율의 변동요인과 향후 전망, 중국 금융시장포커스, 2014년 여름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아베노믹스의 잠재적 리스크와 영향, 자본시장 Weekly 2014-6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미 출구전략 논의의 영향과 향후 리스크, 자본시장 Weekly 2013-26호, 자본시장연구원, 2013.7
ㅇ 최근 美재무부의 환율보고서에 관한 외환 투자의 장단점 소고, 자본시장 Weekly 2012-49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12
ㅇ 최근 우리나라 외채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자본시장 Weekly 2012-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6
ㅇ 환율변동성과 외환거래량의 관계에 관한 분석, Perspective, 2012 Vol. 4. No. 1, 자본시장연구원, 2012.4
ㅇ 『환율의 이해와 예측』, 저자 이승호, 삶과지식, 2012.3
ㅇ 무역결제 활성화를 통한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 자본시장 Weekly 201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2
ㅇ 외환부문의 거시건전성 강화와 위기대응, 자본시장 Weekly 2011-3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1.8
ㅇ Determinants of Inflation in Mongolia, Selected Issue Paper, IMF Country Report 07/39, 2007.1
ㅇ The Bank of Mongolia’s Gold Operations, Selected Issue Paper, IMF Country Report 07/39, 2007.1
0 개 댓글